김용봉, 한소희, 박남재, 전북 겨울 풍경을 담다. 전주 미술관 솔,‘전북동경(全北冬景) 1970’전
전주 미술관 솔이 23일부터 내년 2025년 2월 28일까지 1층 3전시장에서‘전북동경(全北冬景) 1970’전을 갖는다. 1970년 이후 전북 풍경 중에서도 겨울의 모습을 담은 작품만을 엄선, 전시를 갖는다. 전시 주제인 동경은 한글로는 ‘어떤 것을 간절히 그리워하여 그것만을 생각한다.’라는 뜻과 한자로는 겨울 동(冬)+볕 경(景)의 겨울 풍경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담아, 우리 지역에서 활동했던 작고(作故) 서양화가 하정 김용봉(夏丁 金用鳳, 1912-1994), 한소희(韓召熙, 1924-1983), 박남재(朴南在, 1929-2020) 3인의 겨울 그림 15점을 선보인다. 우리나라의 사계절 중 겨울을 그린 그림들은 상대적으로 꽃이나 춘하 풍경에 비해 선호도가 낮다. 차갑거나 스산한 느낌을 준다는 사유 때문..
'전북 서화가들의 면면을 처음으로 밝히다' 한국학호남진흥원, ‘호남서화가 사전’ 발간... 김경희, 김정회, 박윤수, 황욱, 송태회, 이지순, 진학종, 최순모, 전충효, 황윤석은 고창출신 작가
한국학호남진흥원은 ‘호남서화가 사전(이선옥, 김소영 편저, 비매품)’을 발간했다.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호남에서 활동한 서화가 400여 명의 발자취를 한 권에 담아냈다. ‘호남서화가 사전’은 2022년 개최된 ‘호남 서화연구 심포지엄’을 계기로 서화가와 작품에 대한 전수조사의 필요성을 확인한 뒤, 3년 여의 연구를 통해 완성됐다. 기존 연구된 서화가는 물론 대한민국미술대전 등 주요 전람회에서 활동한 작가들을 포함, 최근 작고한 서화가의 생애와 활동, 삶과 작품을 아우른다. 지역 화단의 형성과 변천 과정을 톺아볼 수 있는 자료 등도 담고 있어 지역 서화가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선옥 의재미술관 관장은 ‘호남 서화의 전통과 의미’라는 글에서 호남 전통서화와 흐름을 간략하게 개괄하고 그 특징을..
김혜원 한국전통문화전당 전통한지팀장 ‘명품, 쓰임의 미학’ 발간
'명품, 쓰임의 미학(지은이 김혜원, 펴낸 곳 굿웰니스'은 단순히 명품의 역사와 특징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공예품이 어떻게 실용성과 예술성을 결합하며 세월을 견디는지를 심도 있게 살펴보고, 우리가 일상에서 가치 있는 물건을 선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통찰을 제공한다. 전통을 지키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도입한 공예품들의 이야기를 통해 전통 공예가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고 발전해 나가는지를 보여준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구두 벨루티, 시간과 유행을 초월한 장갑 마도바, 주방의 자존심 휘슬러, 화이트 스타로 빛나는 만년필 몽블랑, 적도의 태양을 피하는 파나마 햇, 120년 전통의 빛과 향을 내는 시어러 캔들, 티파티 블루의 아이콘 티파니, 평생을 함께하는 테디베어 슈타이프,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