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판화로 만나는 전주문화유산
이 종 근
백산 양청문 서각장의 작품을 대하고 있으면 잘 다듬어진 서정시 한편 읽은 느낌이 든다.
현대시처럼 난해하지도 복잡하지도 않은,
어둠이 있으되 칙칙하지 않고
밝음이 있으되 되바라지지 않은,
부드럽지만 흐트러지지 않은,
꼭 잘 지어진 한옥 같은,
아니면 그 한옥에서 전통문화를 다소곳이
생활로 지켜가는 무명옷 입은 아낙 같은
느낌이 들어 마음이 절로 따뜻해진다.
오늘, 맑게 걸러낸 산뜻한 매실주 한 잔을 마시고 싶다.
능숙한 서각 기법의 운용을 통해
작가의 인생관 혹은 생활 철학을 유추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표현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인지 능력과
폭넓은 감성의 유희는 자연의 진상을 향한
정서적 메타포를 작품에 담았다.
지금, 천년 세월의 강을 건너온 전주가 내게 말을 건다.('목판화로 만나는 전주문화유산 서문'중')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용봉, 한소희, 박남재, 전북 겨울 풍경을 담다. 전주 미술관 솔,‘전북동경(全北冬景) 1970’전 (2) | 2024.12.22 |
---|---|
'전북 서화가들의 면면을 처음으로 밝히다' 한국학호남진흥원, ‘호남서화가 사전’ 발간... 김경희, 김정회, 박윤수, 황욱, 송태회, 이지순, 진학종, 최순모, 전충효, 황윤석은 고창출신 작가 (1) | 2024.12.22 |
목판화로 만나는 전주문화유산 (0) | 2024.12.21 |
전주 경기전의 장식기와 '취두(鷲頭)' (2) | 2024.12.21 |
한국학호남진흥원, ‘호남서화가 사전’ 발간 (2)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