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리 (68)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땅의다리산책,2015년 이달의 읽을만한 책 선정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재호)은 2015년도 ‘12월의 읽을 만한 책’으로 『이 땅의 다리 산책』(이종근/채륜서) 등 10종과 ‘12월 청소년 권장도서’로 『시인의 진짜 친구』(설흔/단비) 등 10종 외에, 올 한해 추천도서로 소개하지 못해 아쉬웠던 ‘놓치기 아까운 책’으로 『한.. 이 땅의 다리 산책 <지식> 이종근의 [이 땅의 다리 산책] -.../ YTN 라디오 - YouTube https://youtu.be/y_YJlqFjsiU 동영상 길이: 3:16 게시: 2015.12.19 이 땅의 다리 산책 전북일보, 고대~현대 '다리' 조명한 종합인문서 이종근 기자 〈이 땅의 다리산책〉출간 / 만인교 등 10여년간 답사한 26곳 소개 ‘인류의 삶은 길을 따라 통하고, 그 길에는 반드시 다리가 있다.’ 이종근 새전북신문 문화교육부 부국장이 펴낸 <이 땅의 다리산책>(채륜서)은 다리를 매.. 이종근,이 땅의 다리 산책(채륜서) 발간 새전북신문 문화교육부 이종근부국장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 대상을 받아 만든 '이 땅의 다리 산책(채륜서 발행, 값 1만,4800원)'은 다리를 통해 한국의 역사, 문화, 민속, 회화, 문학 등을 통시적으로 관찰하면서도 새로운 시각을 담아낸 책이다. 특히 현장답사로 이루어지고 문화재청.. 그림으로 만나는 다리(상) 여러 점의 문화재에 다양한 다리가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조선시대 회화에서는 대부분의 작품이 풍경 중심입니다. 때문에 다리는 작품의 주요 소재로 다뤄지지 않고, 매개체 또는 스토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다리의 명칭을 알 수 있는것은 .. 정조의 배다리(주교) <출처 및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옛날, 수심이 깊고 넓은 강에는 나루터를 두고 나룻배로 강을 건너다녔습니다. 하지만 당시 교량건축 능력이 부족했고, 강이 천연적인 방어물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다리가설은 자칫 위험요소가 될 수도 있기 때.. 전북,한국최고의 다리의 고장 전북이 명실공히 국내 최고, 최대의 다리를 보유한 이른 바 ‘다리의 고장’으로 밝혀졌다. 진안 구봉산의 구름다리는 국내 최장 100m이며,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는 김제 새창이다리(구 만경대교)다. 또, 완주 만덕교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스카이웨이로 103미터를 자랑하며, 익산 미.. 문화재청장의 추천사<한국의다리> 이종근 기자가 놓은 새로운 다리 <한국의 다리, 무욕의 세월을 건너다> 발간을 축하합니다. 이종근 기자의 새로운 저서 <한국의 다리, 무욕의 세월을 건너다> 의 편집본을 넘기다 보니 그는 옛 다리의 역사성만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다리를 놓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