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1050)
궁궐 유일 초가 청의정 이엉잇기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소장 안정열)는 (주)현대건설,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올해의 마지막 자유 관람일인 27일 옥류천 지역에서 청의정 지붕의 이엉 교체 및 짚공예 체험 행사를 실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올해로 세 번째이며, 궁궐 내에 남아있는 유일한 초가인 청의정 지붕을 새로운 짚으로 엮어 ..
백제 무왕의 대규모 토목공사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심영섭)는 11월 6일(목) 오전 관련 전문가 및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제408호)에 대한 2008년도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익산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武王: A.D. 600~641)대에 조성된 궁성유적으로 지난 1989년부터 현재까지 국립부여문..
숭례문 현판은 진본이었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숭례문 화재로 일부 훼손된 현판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 숭례문 복구공사가 완료된 후 제자리에 걸기로 하였다. 숭례문 복구자문단은 최근 고증 및 기술분과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지덕사 탁본 등 옛 자료와 현재의 현판을 비교,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숭례문 현판 처리 방..
청실배나무 등 재래 과일 천연기념물 재래 과일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예부터 관혼상제와 각종의식에 사용하였던 청실배나무와 재래 밤나무를 관계전문가의 현지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는 전북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에 있는..
비단벌레, 천연기념물된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비단벌레’를 관계전문가의 실태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비단벌레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곤충 중 가장 아름다운 딱정벌레의 일종으로, 그 문화적, 생태학적 가치와 함께 멸종위기 대상이므로 그 보전 대책이 요구..
서천장항에서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발견 충남 서천군 장항읍 일원에서 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1호)와 노랑부리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2호)가 함께 발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 천연기념물센터는 ‘천연기념물 동물 및 서식지 모니터링’에서 나란히 물속에 부리를 넣고 저으며 먹이를 찾고 있는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가 ..
미륵사지석탑의 석인상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에서는 31일 오전 10시 익산 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 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장 공개 설명회를 개최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시행 중인 미륵사지석탑 보수정비사업은 현재 석탑 1층부 해체가 진행 중이며 그동안 석축에 가려져 있던 석탑 남,서측면 및 기단부..
사천왕사지 녹유전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통일신라의 호국사찰인 경주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에서 출토된 녹유전(綠釉塼)에 대해 최첨단 3D Scan 장비를 이용한 정밀 실측조사를 추진하고, 관련정보를 획득하였다. 현재 경주시 배반동 935-2번지에 폐허된 상태로 남아 있는 사천왕사지는 통일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