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1050)
'석빙고의 비밀'을 배우고 싶습니다 석빙고의 원리와 의의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의 ‘동온하청(冬溫夏淸)’.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유물로, 여름의 조선시대의 돌냉장고 ‘석빙고’와 겨울의 ‘김장독(미륵사지 출토 대형 토기)’이 있다. 경남 밀양 얼음골 얼음의 비밀 덕분에 허준의 스승 ..
광한루의 토끼와 거북의 상징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 천년만년을 살 수는 없겠지만 죽는다는 것은 언제나 슬픈 일인 것 같다. 무병장수는 중국 진시황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꿈과 희망의 로또복권이다. 백성들의 피를 빨아 만리장성을 쌓고, 아방궁을 만들어 놓은 그는 삼천 궁녀를 거느린 채 천하를 주유하면서 천년만년 살..
숭례문 현판 옛 모습으로 거듭나다! <수리 전, 수리 후의 모습>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숭례문 화재로 일부 훼손되었던 현판의 복원을 완료하고 오는 7월 7일(화)부터 8월 16일(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중앙홀에서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복원된 현판과 함께 숭례문 현판의 복원과정, 옛 사진을 비롯한 숭례문 ..
흥미진진, 문화의 원조 전쟁 소설가 이문열이 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란 소설을 읽고 전율했던 적이 있다. 유년시절 학교 주변을 어쩌면 저리도 잘 묘사해 냈을까 하고 탄복을 했다. 시골 초등학교 5, 6학년 교실을 중심으로 ‘엄석대’라는 한 가공 인물의 권력 형성과 몰락을 실감나게 그려낸 이 소설은 영웅부재의 이 ..
미륵사지석탑, 금동사리호 베일을 벗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3월 31일(화) 동 연구소 보존과학센터에서 익산 미륵사지석탑에서 출토된 금동사리호를 개봉하고 금제사리내호와 사리 등 유물을 수습하였다고 밝혔다. 금동사리호는 지난 1월 14일 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의 심주(心柱) 사리공(舍利孔)에서 사리봉안기 ..
사라진 대한제국의 국새를 찾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에서는 3월17일 오전 10시 30분 고궁박물관 회의실에서 고종황제가 사용하였던 국새를 공개하고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 국새는 국외반출 중요우리문화재에 대한 유물구입을 통한 국외문화재환수의 일환으로 2008년 12월 소장하게 된 것이며, 고종황제가 친서에 사..
재래 과일나무가 천연기념물됐다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예부터 관혼상제와 각종의식에 사용하였던 청실배나무와 재래 밤나무를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천연기념물 제497호 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는 전북 정읍시 산내면 두월리에 있는 수령 250년 정도로 추정되는 노거수 과일나무이다. 이 마을의 뒷동산 한가운..
조선 후기 숭례문 도로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1차년도 숭례문 발굴조사(‘08. 8 ~ 11월 현재) 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숭례문 발굴조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개년 계획으로 진행 중에 있다. 올해 발굴조사지역은 현 가림막 내의 숭례문 내·외부 지역으로, 조사 결과 숭례문을 통과하던 조선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