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비단벌레’를 관계전문가의 실태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비단벌레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곤충 중 가장 아름다운 딱정벌레의 일종으로, 그 문화적, 생태학적 가치와 함께 멸종위기 대상이므로 그 보전 대책이 요구되는 종이다.
특히, 비단벌레는 몸의 색깔과 영롱함 때문에 여러 가지 공예 곤충으로 사용되어 성충의 딱지날개는 장식물로 이용되어 왔다.
그 예로 신라시대 왕실의 장신구에 이용되었으며, 1970년 초에 경주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마구(馬具-비단벌레딱지 날개로 장식)는 우리나라 국보급 문화재로 평가 받는 등 역사적, 문화적, 생태학적 가치가 크므로 비단벌레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것.
비단벌레의 생태학적 특징을 보면 유충의 몸길이는 약30㎜이고, 성충은 30~40㎜로 전체적으로 금록색으로 금속성 광택이 매우 강하다.
보통 팽나무, 후박나무 등 활엽수 계통의 나무에서 산란하고 반고사목 또는 생목 중 썩어가는 굵은 줄기를 선호하며, 국내에서는 그 서식지가 완도 등 전남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이미 소멸되고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와 함께 이 땅의 소중한 자연유산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비단벌레는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일반인, 관련학자, 지방자치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전민일보 이종근기자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숭례문 현판은 진본이었다 (0) | 2008.10.27 |
---|---|
청실배나무 등 재래 과일 천연기념물 (0) | 2008.10.20 |
서천장항에서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발견 (0) | 2008.08.14 |
미륵사지석탑의 석인상 (0) | 2008.07.30 |
사천왕사지 녹유전과 첨단과학기술의 만남 (0) | 200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