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민족문화 (105) 썸네일형 리스트형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 선정취지 및 필요성 한국의 4대 명절 중 하나,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문화유산 걸작’인 단오는 기온이 올라가고 따듯해지므로 양기가 가득한 날로 예부터 부정을 쫓는 날로 알려져왔다. 천중부적을 구해다가 악귀를 쫓지도 하고 가정에서는 부정을 쫓고 길상을 맞이하기 위해서 단오 .. 잠녀(해녀) 잠녀(해녀) 선정취지 및 필요성 해녀는 몸에 아무런 장치 없이 맨몸으로 잠수해서 전복ㆍ소라ㆍ미역ㆍ우뭇가사리 등 해산물을 직업적으로 채취하는 여자를 말한다. 해녀의 본고장인 제주에서는 이들을 ‘잠녀(潛女)’ 혹은 ‘잠수(潛嫂)’라 부르는데, 이들 잠녀는 전통적 잠수문화의 상징이자 제주.. 오일날(장날) 오일장(장날) 선정취지 및 필요성 우리 민족의 정취와 지혜가 담긴 장소로서의 상징성을 지닌다. 특히 조선시대에 정착,확대된 오일장 체제는 그 유래가 드문 것이라 하겠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오일장은 지방에서 열린 ‘향시(鄕市)’의 한 형태로 고려시대부터 점차 그 모습을 정비하기 .. 길거리 응원 길거리 응원 선정취지 및 필요성 자그마한 초를 가지고 집단적 시위를 벌이는 모습은 한국문화의 또 다른 정체성으로 다가온다. 이는 한국 민주주의가 성취해낸 또 다른 문화적 결과물로 인정된다. 지난 권위주의시절을 관통하면서 성숙한 시민의식의 성장이 열매 맺은 민주주의의 문화적 상징으로 .. 비무장지대 비무장지대 선정취지 및 필요성 비무장지대는 지구상에 오직 한 곳 한반도에만 있기에 우선 희소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비무장지대가 생기게 된 배경을 보면 약소국의 설움이자 분단의 상처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한반도평화 및 화해의 미래라는 상징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생태.. 석굴암 석굴암 선정취지 및 필요성 석굴암은 1995년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과거 잘못된 보수 공사로 인하여 누수현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계속 훼손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석굴암에 대한 사업은 별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없으며, 다만 경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역사문화도.. 유관순 유관순 선정취지 및 필요성 대표적인 여성독립운동가로서 유관순의 민족을 향한 불타는 열정과 지조는 훗날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 학생운동의 선구자 역할을 해낸 것이다. 해방 이후에도 이 땅에서 벌어진 모든 민주화운동에는 학생들이 앞장을 섰으며, 모든 민족운동사의 결마다 유관순의 숨결.. 안중근 안중근 선정취지 및 필요성 20세기 초반 ‘제국과 식민의 시대’에 동양평화를 위해 살신성인한 인물이며, 한말 항일독립운동의 상징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안중근(安重根)은 구한말의 교육가이자 독립투사로 황해도 해주에서 1879년에 태어났다. 고려 말의 이름난 유학자 안유(安裕)의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