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대 민족문화

(105)
경주(서라벌) 경주(서라벌) 선정취지 및 필요성 경주는 천년(BC 57~AD 935)의 역사를 가진 신라의 수도로서, 남산을 중심으로 주변에는 한국 불교의 발달사와 건축사를 규명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유적·유물들이 아주 많이 산재해 있다. 그 자체가 살아있는 교육전시관으로서 2000년 12월에는 세계문화유산으..
서울 서울 선정취지 및 필요성 조선왕조 이래로 우리나라의 수도로 기능하고 있다. 더군다나 대한민국 국민의 20% 이상이 거주하는 최대도시이며, 한국의 정치,행정,경제,문화의 중심이기도 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서울’은 원래 고유명사가 아닌 보통명사로 ‘서벌(徐伐)’,‘서나벌(徐那..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선정취지 및 필요성 빗살무늬토기는 신석기시대에 우리나라 전역에서 만들어 쓴 질그릇으로 다양하게 그려진 그 기하학적 무늬는 미술사적으로나 문화인류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선사문화의 연계성 및 시원을 밝혀 주는 주요 상징이기도 하다. 역..
고인돌 고인돌 선정취지 및 필요성 조상들의 혼과 숨결이 깃든 다양한 분묘는 우리에게 많은 문화유산을 남겨주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그 가치를 국제적으로 공인받았다. 이..
정보통신(IT) 정보통신(IT) 선정취지 및 필요성 정보통신이란 아이티(IT), 즉 ‘Information Technology’의 각각의 첫 자를 따서 만든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높은 인터넷 보급률, 핸드폰, 반도체 등 정보통신 강국의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정보통신은 우리에게 ‘미래의 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수원 화성 수원화성 선정취지 및 필요성 화성은 건축물과 기록문화가 모두 살아 숨 쉬는 성이며, 전쟁의 와중에도 튼튼하게 쌓아올린 벽돌 덕분에 무너지지 않고 지금껏 전해지는 역사의 현장이다. 대개의 성들이 산성이라 산정 높이 계곡을 가로질러 쌓아졌다면, 화성은 수원 시내 한복판에 우뚝 서있다. 그래..
물시계와 해시계 물시계와 해시계 선정취지 및 필요성 자격루와 앙부일구는 조선 초 세종대왕대 창제된 물시계와 해시계이다. 자격루는 물동이에 물이 차 올라오는 눈금을 읽어 시간을 측정하는 원시적인 물시계와는 차원이 다른 고도의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장치로 작동되고, 자동 시보장치를 갖춘 15세기 당시 세계..
측우기 측우기 선정취지 및 필요성 측우기는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발명이다. 유럽 최초의 정량적 강우량측정기인 이탈리아의 카스텔리의 것이 1658년에 제작되었으니, 1442년에 제작된 측우기는 무려 200여년이 앞선다. 그런데 이러한 측우기의 제작을 중국인들은 인정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