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대 민족문화

(105)
거북선 거북선 선정취지 및 필요성 한국인이 만든 세계적인 전함으로서 이순신과 더불어 ‘해양강국 조선’의 대표적 상징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국외적으로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는 못한 현실이고, 해양문화로서의 거북선마케팅 역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거북..
천상열차 분야지도 천상열차분야지도 선정취지 및 필요성 조선건국의 이념과 15세기 당시의 천문학 성과를 반영한 천문도이다. 동양에서는 중국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로 중국의 천문도와는 달리 우리의 독자적안 별자리를 보여주는 독특한 천문도이다. 1395년에 제작된 태조대의 원본각석이..
한우 한우 선정취지 및 필요성 소는 우리 역사와 더불어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온 귀중한 가축이다. 황갈색이 대종을 이루는 한우는 농가 재산목록 1호로서 농우(農牛)의 역할을 담당했을 뿐만 아니라 잔치와 축제가 풍성하고 성대했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음식의 상징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
호랑이 호랑이 선정취지 및 필요성 호랑이는 대륙과 해양을 향해 포효하는 반도의 기상을 표상하기도 하며, 서울 올림픽의 상징으로 선정되기도 하는 등,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동물 상징이었다. 곰과 함께 단군신화에 출현하지만 야성의 소유자로 인간화를 위한 통과의례에 실패한 존재로 묘사된다. 그러나..
진돗개 진돗개 선정취지 및 필요성 진도개는 우리나라를 대표한 특산품종으로 1962년 천연기념물 제 53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주인에 대한 강한 복종심과 강한 귀가성으로 유명한 진도개는 그간 내륙과 격리된 채 순수품종을 유지해왔으나 외부와의 개방과 종견의 부족으로 특산품종의 유지에 적신호..
소나무 소나무 선정취지 및 필요성 소나무는 우리나라 나무 중에서 가장 넓은 분포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개체수도 가장 많은 한국을 대표하는 나무이다. 그 만큼 소나무는 우리의 의식주 및 종교문화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회화, 문학, 민속 등에서 한국인의 정서와 기질을 대변해주는 상징이었다. ..
풍수 풍수 선정취지 및 필요성 풍수는 전통적 환경사상이자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응축된 자연생태학이다. 풍수지리의 자연관은 자연을 생명력 있는 존재로 보고 자연의 생명력을 인간과 동화시킬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 풍수지리의 입지론은 전통적 최적주거입지론이라고 할 만한 것으로서 풍수지리..
갯벌 갯벌 선정취지 및 필요성 우리나라의 서해안 갯벌은 캐나다 동부해안, 미국 동부해안, 독일 북해연안, 아마존강 유역의 갯벌과 함께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이다. 갯벌(tidal flat)은 주인 없이 버려져 있는 쓸모없는 땅이 아니라, 수많은 생물들이 살아가는 서식처이자 주변연안 해역을 깨끗하게 지켜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