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대 민족문화

(105)
정약용 정약용 선정취지 및 필요성 조선시대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역사,정치,경제,과학 등 다방면에 탁월한 식견과 저술활동을 한 한국 역사상 최고의 석학이며, 한국 지성사의 맥을 잇는 인물이다. 특히 그가 정립한 목민철학(牧民哲學)은 현재의 정치,행정가에게도 통용되는 생명력을 지니고 있..
이순신 이순신 선정취지 및 필요성 이순신은 1960년대 국가적 차원에서 충(忠)과 호국(護國)이데올로기의 상징으로서 ‘성웅 이순신’으로 급격히 부각된 측면이 있다. 하지만 그것은 후대 ‘역사 만들기’의 산물일 뿐이다. 세계 해전사에 남긴 이순신의 위상이 결코 축소되거나 부인되어서는 안 된다. 이순..
퇴계 이황 HOME > 민족문화상징 자료관 > 분야별로 보는 민족문화상징 퇴계(이황) 선정취지 및 필요성 퇴계 선생은 한국 유교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성인이다. 퇴계의 학문은 일본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근대 중국과 일본의 지식인으로부터 주자 이후의 제일가는 성인으로 찬사를 받을 만큼 ..
세종대왕 세종대왕 선정취지 및 필요성 한글창제, 측우기개발, 농사편찬 등 찬란한 문화를 이끌었던 조선시대의 국왕으로, 현재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역사상 인물 중 하나이다. 유네스코에서는 이미 몇 해 전부터 ‘세종상’을 제정, 문맹퇴치에 공이 큰 사람에게 시상을 하고 있다. 세종대왕의 이름을 딴 ..
원효 원효 선정취지 및 필요성 원효는 한국의 불교사상은 물론 한국의 지성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거침없는 자유로운 삶과 대중들에게 밀착된 실천적인 사상, 그리고 치우침이 없이 불교사상의 진수를 꿰뚫고 있는 그의 저작들은 원효를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지성인으로 자리매김..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선정취지 및 필요성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장한 국왕이다. 5세기 고구려를 동아시아의 최강국으로 성장시켰으며, 역사상 가장 존경할만한 인물을 선정할 때도 항상 상위를 차지한다. 한국의 진취성과 자존심을 대변하는 최고의 상징이라 하겠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
단군 단군 선정취지 및 필요성 단군은 민족의 시조로 여겨지는 역사-신화적 인물로서 국가 및 민족 단위의 위기에 봉착하여 정체성을 묻거나 새로운 통합을 시도할 때마다 강력하게 요청되었던 살아 있는 역사적, 신화적, 종교적 원형이라 할 수 있다. 과거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에..
평양(아사달) 평양 선정취지 및 필요성 단군이 처음 나라를 열었다는 전하는 고도(古都)이며, 고구려 및 북한의 수도이기도 하다. 그 역사적 연원이 오래된 만큼 많은 문화유적이 남아있어 문화상징으로 선정될 필요가 있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양은 BC 2333년 단군이 도읍을 정했다는 설과 함께 고조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