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선정취지 및 필요성
비무장지대는 지구상에 오직 한 곳 한반도에만 있기에 우선 희소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비무장지대가 생기게 된 배경을 보면 약소국의 설움이자 분단의 상처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한반도평화 및 화해의 미래라는 상징성을 아울러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생태환경의 보고이기도 하다.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비무장지대(非武裝地帶 Demilitarized Zone)는 국제연합군(UN군),조선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이 한국전쟁의 휴전에 합의하며 남북한 간의 적대적 행위로 인한 전쟁재발을 막기 위해 한반도 중앙을 동서로 가로질러 만들어놓은 비무장,비전투 완충지역을 일컫는 말이다. 영어 약자로 DMZ라고도 불린다. 동서길이 248㎞(155마일)이며,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쪽 2㎞ 지점을 남방한계선, 북쪽 2㎞ 지점을 북방한계선으로 한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전문 제1조에 의거하여 설치되었고, 남방한계선은 관할권이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에게, 북방한계선은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에게 주어졌다. 이 지역 내에서는 민간행사와 구제사업을 제외한 어떠한 적대시설이나 적대행위를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고, 민간인과 군인을 막론하고 군사정전위원회의 특정한 허가 없이는 출입할 수 없다. 인원도 어느 한쪽에서 1,000명을 넘을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 결과 비무장지대는 희귀동물들의 주요서식지가 되었으며, 이를 조사하기 위해 남북한 학술조사단의 구성이 논의되기도 했다. 남쪽에는 대성동 자유의 마을, 북쪽에는 평화촌 민간인 거주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각 국가 간에 국경선은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비무장지대가 있는 나라는 없다.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기대효과
비무장지대는 분명 약소국의 설움과 분단국가라는 비극의 상징임에 틀림없다. 그렇지만 생태환경의 보고일 뿐 아니라, 한민족이 이를 어떻게 대처, 극복하느냐에 따라 남북 공동연구의 대상, 남북화해의 상징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기대효과를 지니고 있다.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분단의 비극으로 형성된 비무장지대는 역설적으로 문화산업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재료가 된다. 전 세계에 유일하기 때문이다. 수년 전 영화의 주제로 만들어 성공한 모범사례가 있다. 다만, 부정적 이미지를 극복하고 화해와 평화, 통일의 이미지로 부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참고자료
김석영, 『판문점 20년』, 진명문화사, 1973 / 김양명, 『한국전쟁사』, 일신사, 198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임학성>
![](http://person.mct.go.kr/images/symbol/icon.gif) 관련 이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