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민족문화 (105) 썸네일형 리스트형 황토 황토 선정취지 및 필요성 황토는 한국인의 정서적 감흥에 가장 잘 부합되는 색깔과 느낌, 효용성 따위를 지니고 있다. 많은 시인들의 작품에 황톳길이 노래되는 이유는 단순한 시어(詩語)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황토에서 태어나서 황토로 돌아가는 한국인의 삶이 강력하게 배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선정취지 및 필요성 대동여지도는 조선후기에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하였으며, 한국의 고지도 중에서 가장 문화 상징성이 강한 대표적인 지도라고 할 수 있다. 대동여지도는 국토의 산수체계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해주며, 백두대간을 비롯한 한국의 전통적인 산맥인.. 동해 동해 선정취지 및 필요성 세계지도에서 동해표기의 90%이상은 동해(East Sea)보다 일본해(Sea of Japan)로 되어 있다. 한국인끼리야 당연히 동해라고 부르지만 어디까지나 ‘국내용’일 뿐 국제사회에서는 일본해로 통한다. 따라서 동해는 명칭자체를 널리 알려야 할 필요성이 상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우.. 금강산 금강산 선정취지 및 필요성 금강산은 ‘일만이천봉’으로 표현되듯이 우리강산 중 가장 빼어나고 수려한 상징물이다. 특히 남북화해 및 교류의 물꼬를 튼 상징이기도 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강원도 회양군과 통천군·고성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높이 1,638m이다. 금강산은 동해에 임박한 .. 백두산 백두산 선정취지 및 필요성 백두산은 한민족의 성산(聖山)이며, 그 정상에 위치한 천지는 한민족의 성지(聖池)이다. 그리고 세계 10대호수의 하나로 평가되기도 한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함경남도·함경북도와 중국 동북지방(東北地方:滿洲)의 길림성(吉林省)이 접하는 국경에 걸쳐 있는 .. 백두대간 백두대간 선정취지 및 필요성 백두대간은 국토의 등줄기이자 민족정신의 지주로서 중요한 상징성을 지니는 문화상징 요소가 된다. 아울러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생태적 주축일 뿐만 아니라 역사적 문화경관을 형성한 자연적 뼈대이기도 하다. 백두대간은 한민족의 생활권을 가름하는 문화지역의 경.. 독도 독도 선정취지 및 필요성 일본과의 독도영유권 분쟁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를 상대로 하는 일본 측의 대대적 홍보에 맞서기 위해 ‘한국 땅 독도’에 대해 널리 알려할 필요성이 상시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독도는 우리국민들에게 한반도 해양강역의 일 상징물로 인식되고 있다. 역.. 무궁화 무궁화 선정취지 및 필요성 대한민국의 나라꽃[국화(國花)]이며, 예부터 한반도를 부르는 ‘근역(槿域)’의 유래이기도 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온대지방에서 7월부터 10월까지 약 100일 동안 피는 꽃나무이다. 그루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많은 가지를 치며 나무껍질은 회색이다. 잎은 마름..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