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쉽죠

(192)
수중고고학이란? 수중고고학이란? 수중고고학이란 과거에 물속에 잠겨버린 유물이나 유적을 발굴하여, 인류의 문화 생활방식, 역사 등을 밝혀내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수중고고학은 모든 활동이 물밑으로 연장하여 행해지는 것으로서 조 사환경과 방법적인 면에서 육상고고학과 구분이 됩니다.
수중문화유산이란? 수중문화유산이란? 먼저 저희 전시관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는 해양국가로서 선사시대 이래 수많은 교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교류과정에 바다나 강ㆍ호수ㆍ늪지 등 물에 잠겨져 남아 있는 유적이나 유물을 수중문화유산이라고 합니다. 수중문화유산은 육상의 문화유산보..
복원 모형 및 유물 촬영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안에서의 촬영은 문화재청 『궁·능원및유적관람등에관한규정』(문화재청 훈령 제65호 1999. 6. 1)에 의거 허가하고 있습니다. - 촬영허가신청을 하시면 내부규정에 의거 심사를 실시하여 허가여부를 알려드리며 허가시 촬영료를 납부하셔야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우리관 홈페이..
멍텅구리배란 멍텅구리배 저희 전시관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멍텅구리배는 밀물과 썰물 때에 새우를 잡는 구조선의 배 입니다. 양쪽 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아보면 먼저 상단에 설치된 구조는 ‘그릇’ 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에 설치된 구조는 ‘질’이라고 합니다. 이 구조는 두 가지..
한선 한선 먼저 저희 전시관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배는 그 선종과 연대 여하를 막론하고 모두 동일한 구조방식 및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틀어 '한선' 이라고 칭합니다. 특히 우리나라 한선은 상고시대 뗏목배부터 배 밑이 모두 평저형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
신안선 신안선은 중세 중국과 일본간의 무역선입니다. 14세기 우리나라는 고려왕조, 중국은 원(元)왕조, 일본은 가마쿠라막부시대로서, 활발한 교역이 이뤄지는 시대였습니다. 1323년 여름, 신안선은 당시 중국의 무역항 경원(慶元 : 현재의 영파)에서 수 만점의 무역품을 싣고 일본을 향해 출항하였습니다. 최..
해저유물은 어떻게 인양할까요 해저유물은 어떻게 인양할까요 수중발굴은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 알맞게 잠수부와 함께 특수한 장비 해저지층탐사기, 운반선, 장비탑재선 등과 같은 특수한 장비를 이용해서 이뤄집니다. 해저유물 인양의 과정은 이렇습니다. ①유물매장처 주변조사 ■유물매몰상태 조사, 해저지질상태 조사, 주변..
수중발굴의 형성 과정은 . 수중발굴의 형성과정 ㅇ 수중유물의 형성과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①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유물로 신석기시대 등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한 육지의 바다화 등으로 매장된 유적유물 ②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에 의한 수중매몰 ③ 선박 등 운송수단 운항과정 중 침몰 ④ 기타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