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선은 중세 중국과 일본간의 무역선입니다.
14세기 우리나라는 고려왕조, 중국은 원(元)왕조, 일본은 가마쿠라막부시대로서, 활발한 교역이 이뤄지는 시대였습니다. 1323년 여름, 신안선은 당시 중국의 무역항 경원(慶元 : 현재의 영파)에서 수 만점의 무역품을 싣고 일본을 향해 출항하였습니다.
최종목적지는 일본 교토에 있는 사찰 동복사였습니다. 서남계절풍을 이용해 고려해역을 지나는 국제교역 항로인 남로를 따라 항해하던 중 일본이 아닌 우리나라의 전남 신안에서 난파당해 침몰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침몰선은 발견지역을 따라 신안선이라 부르고 있으며, 700년간의 역사적 비밀은 배와 함께 발굴된 유물을 통해서 밝혀졌습니다.
관련 있는 유물로는 최상급 도자기 2만2천 여점을 비롯하여, 항해시기와 국적을 알려주는 중국 동전, 중국 연호가 기록된 화물표(목패), 중국 무역항 경원이 쓰여진 '청동 저울추' 등 다양하게 인양되었습니다.
'문화재 쉽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텅구리배란 (0) | 2010.05.24 |
---|---|
한선 (0) | 2010.05.24 |
해저유물은 어떻게 인양할까요 (0) | 2010.05.24 |
수중발굴의 형성 과정은 (0) | 2010.05.24 |
수중고고학의 명칭문제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