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쉽죠

(192)
무형문화재란 무엇인가요 문화재는 석굴암이나 남대문처럼 언제나 그 자리에 고정된 형태를 갖추고 있는‘유형문화재’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춤이나 노래, 연극처럼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우리 민족의 흥과 멋이 살아 숨쉬는 음악, 무용, 연극, 놀이와 의식, 공예기술 등의 전통예술을‘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
사적으로 지정된 문화재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사적’은 문화재 중 선사유적, 성곽, 고분, 도요지, 지석묘, 사지, 패총 등과 역사적으로 특별히 기념될 만한 지역과 시설물을 함께 일컫는 것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를 가리킵니다. 사적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청장이 지정하며, 대표적인 사적지에는 다음과 같은 것..
동산문화재란 무엇인가요 ‘동산문화재’란 이동이 가능한 모든 문화재를 말합니다. 건물과 같이 땅 위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는‘부동산문화재’에 대응하는 개념입니다. 엄밀히 말하여‘동산문화재’와‘부동산문화재’는 문화재 보호법상의 용어는 아니지만 굳이 구분하는 이유는 문화재 행정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문화재란 무엇을 의미한가요 문화재란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뜻합니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형태를 갖춘 유형의 것만 문화재가 아닙니다. 눈에 보이지 않으나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온 여러 가지 예술활동과 인류학적인 유산, 민속, 법, 습관, 생활양식 등 민족적 또는 국민적인 체질의 본질..
고궁에서 야외 결혼사진 촬영이 가능한가 고궁에서의 결혼사진 촬영은 종묘와 창덕궁에서는 금지하고 있으며, 창경궁과 경복궁에서는 관람객이 많은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주중에 특별한 사전 예약 없이 관람시간에 가능합니다. 또한 덕수궁에서는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주중에 하루 25쌍으로 제한하여 허가하고 있으며 홈페이지(www.royal..
문화재별 특성에 맞는 화재대응 매뉴얼 마련 문화재별 특성에 맞는 화재대응 매뉴얼 마련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화재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보, 보물로 지정된 143개소(국보 21, 보물 122) 중요 목조문화재의 특성과 주변 환경을 감안한 화재대응 매뉴얼을 마련, 지자체에 보급했다. 이로써 문화재 관리(소유)자가 효율적인 화재발생시 초..
등대가 문화재가 된 사연 <사진은 가거도 등대, 목포구 등대, 소매물도 등대섬, 어청도 등대> 항구의 밤은 낮보다 아름답다. 한낮에는 볼 수 없었던 거대 도시의 색다른 매력은 밤이 되어 하나 둘 전구가 켜질 때마다 환한 속살을 드러내며 살아난다. 수없이 많은 전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빛과 인간이 만든 건축물들의 조..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등 돌담길 문화재등록 <사진:여수 사도.추도 마을 옛 담장, 경남 의령 오운마을, 영암 죽정마을의 옛 담장,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의 돌담길> 문화재청은 향촌마을의 아름다움과 정서를 고이 간직하고 있는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 등마을 돌담길 4건을 30일 문화재로 등록했다. 이번에 등록된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의 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