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쉽죠 (192)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전통건축의 특징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한국 전통건축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의 풍토와 민족성에 맞게 발전되어왔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려는 태도로 계획하였으며 과장되거나 허세를 부리지 않고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전체적인 비례와 조화미를 추구하였다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재료적인 측면에서 한국 전.. 나전칠기는 어디에서 살 수 있나요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가 직접 만든 나전칠기 등의 작품은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내의 전통공예품 상설전시 판매장과 한국무형문화재 기능보존협회, 한국의집 문화상품관, 한국문화의집 문화상품전시관 등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해당 보유자에게 직접 연락해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중.. 중요무형문화재 공연장은 어디에 있나요 탈춤 등 중요무형문화재의 공연은 매년 정해진기간(정월, 단오, 백중, 추석 등) 동안 전국 각 전승지역에서 행해지지만 양주(양주별산대 놀이), 안동(안동 하회 탈춤) 등 일부 지역에서는 매주 상설공연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탈춤 등 중요무형문화재의 공연은 매년 정해진기간(정월, 단오, 백중, 추.. 판소리를 배우고 싶어요 판소리는 중요무형문화재 중 하나입니다. 무형문화재는 예능을 지닌 해당종목의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직접 방문해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식으로 입문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서울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과 각 시·도 소재 중요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및 국립국악원과 .. 등록문화재와 일반문화재의 구분 오늘날 근대문화유산 중 보호되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이며, 대부분이 사회변동과 생활양식의 변화, 기술혁신, 경제의 효율화 등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어, 허가위주의 기존 지정제도와 구별하여 소유자의 자발적 보존에 기초한 신고 위주의 지도·조언·권고를 기본으로 하는 등록문화재 제도.. 전적문화재를 알려주세요 문화재보호법상 동산문화재로 분류되고 있는 전적(典籍)문화재란 넓게는‘문자나 기호 등에 의해 전달되는 모든 기록정보’를 말하며, 좁게는‘기록정보 가운데 각 학문분야에 있어 학술적 혹은 예술적 가치가 있는 기록자료’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이래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많.. 천연기념물·명승이란 무엇인가요 천연기념물은 동물, 식물, 광물, 동굴, 지질, 생물학적 생성물, 자연현상 중에서 민족의 역사성을 확인시켜주는 역사적, 문화적, 과학적 가치가 있거나 경관이 특별히 아름다우면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하여 지정한 것을 말합니다. 천연기념물로 보호하는 동물은 서식지와 .. 무엇을 매장문화재라고 하는지 궁금해요 ‘매장문화재’는 땅 속이나 바다 밑에 묻혀 있어 드러나지 않았지만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것들을 말합니다. 고고학에서는 발굴대상이 되는 유적(遺跡), 유구(遺構), 유물(遺物)을 매장문화재로 각각 구분하고 있습니다. 유물은 토기, 석기, 철기 등의 출토물을 말하며, 유구는 집터, 고분, 건물터 등 .. 이전 1 ··· 20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