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쉽죠

(192)
조선시대 왕릉은 서울과 경기도에만 있나요 조선시대 왕릉은 서울과 경기도에만 있나요 조선시대 능역은 한양으로부터의 거리, 그리고 주변지역과의 거리, 도로와의 관계, 경계, 주변의 산세와의 관계(풍수지리적 고려)를 통하여 입지를 선택하였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도성으로부터 10리 이내와 인가로부터 100보 이내에 묘지를 쓰는 것을 법전..
조선시대 왕릉의 석물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조선시대 왕릉의 석물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나요 조선의 왕릉은 봉분 둘레에 호석을 쌓고 그 주위에 석난간을 둘렀으며 그앞에 석양과 석호 등 석수를 배치하였습니다. 왕릉 정면에는 장방형의 혼유석을 두고 좌우에 망주석을 세웠으며, 석상 앞에 장명등을 세우고 동·서·북 3면에는 담이 둘러 ..
창경궁 정전 명정전은 왜 동향인가요 조선왕조 5대궁의 모든 정전 등 중요 전각과 궁궐의 주향(主向)이 남향(南向)인 것과는 달리 창경궁의 정전인 명정전은 동향(東向)으로 배치된 유일한 궁궐입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창경궁은 광해군 7년에 중건이 결정되었는데, 이때 김일손(金日孫)이 명정전을 남향으로 하자는 상소를 올리는 등 ..
조선의 궁궐과 대문의 유래는 조선시대에 지어진 궁궐은 경복궁(景福宮), 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경희궁(慶熙宮), 덕수궁(德壽宮) 등 5대 궁궐이 있습니다. 경복궁은 조선 창건초기《시경》의‘군자만년개이경복(君子萬年介爾景福)’이란 글귀에서따 경복궁이라 하였습니다. 창덕궁은 태종 때 처음 세워진 궁궐로서 덕의..
능, 원, 묘의 차이 궁금해요 왕족들의 무덤은 묻히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능, 원, 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능(陵)은 통상 제왕(帝王)과 왕후(妃),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또는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을 말하며,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과 같이 묘(墓)라 불립니다. 왕에서 군으로 격하된 연산군과 광해군의 무덤은 연산군..
성곽에 대해 알고 싶어요 성곽은 도시나 마을을 적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쌓은 방어시설입니다. 성곽은 우리 역사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가 생기면서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것으로 그 기원은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8세기 말 정조때에 축성한 수원의 화성이 마지막으로 축성된 성곽입니다. 성곽의 종류는 용도..
건축물지붕에 있는 동물형상의 의미 전통건축물 지붕에 설치된 동물 형상은 ‘잡상’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궁궐의 용마루 양 끝에 용 모양을 한 용두, 독수리 모양을 한 취두, 솔개모양을 한 치미가 설치되고 추녀마루나 내림마루에는 잡상과 용두를 설치하기도 합니다. 잡상의 기록은 한국정신문화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와..
건축에서 단청은 왜 하나요 우리나라 전통건축에 있어서의 단청은 건축물을 화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꾸밈의 역할도 있지만 ①사용된 목재를 비바람이나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고 ②목재 표면의 흠집 등을 감추고 ③권위를 나타내며 ④종교적 신앙심 및 숭배하는 마음이 크게 일어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실시됩니다. 단청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