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창덕궁 궁문 1. 궁문宮門 1-h-1 돈화문敦化門 위치와 연혁 : 창덕궁의 남쪽 정문이다. 남아 있는 궁궐의 대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실록에 따르면 1405(태종 5)년 창덕궁을 짓고 나서 몇 년 후인 1412(태종 12)년 5월에 세웠다.<원전 1> 1451(문종 즉위)년에 지금과 같은 규모로 중창(重創)했다. 임진왜란 때 불타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 지금에 이르기까지 태종(太宗, 1367~1422년)이 경복궁이 아닌 별도의 이궁(離宮)을 세우도록 명하여 1405(태종 5)년에 완성한 것이 창덕궁이다.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즉위한 태종은 바로 한양의 경복궁으로 돌아왔으나, 경복궁에 오래 머물 생각이 없었다. 경복궁은 왕자의 난을 겪은 ..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 기념 행사 문화재청 태릉관리소(소장 오효석)는 오는 6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오는 6월 30일은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 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에 태릉관리소에서는 등재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
경복궁 집옥재 권역 14. 집옥재集玉齋 권역 14-h-1 집옥재集玉齋 위치와 연혁 : 건청궁 서편에 있는 건물이다. 1881(고종 18)년에 창덕궁 함녕전(咸寧殿)의 북별당(北別堂)으로 지었으며,<원전 1> 1891(고종 28)년에 경복궁 보현당(普賢堂) 1) 뒤쪽으로 이건(移建)하였다.<원전 2> 2층 건물인 집옥재는 도서관으로 쓰였다. 집..
의릉 국가정보원 구관 철거지역 능제 복원 추진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조선왕릉(40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1주년이 되는 올해 6월부터 서울시 성북구 석관동 소재 의릉(사적 제204호)의 훼손된 능역(陵域)에 대한 본격적인 복원사업을 실시한다. 의릉(懿陵)은 조선 20대 경종과 그의 계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으로 1724년에 조성되어 오늘에 ..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특별전 - 6월29일 ~ 8월29일,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대한제국실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은 한일강제병합 100년이 되는 올해, 오는 6월 29일부터 8월 29일까지 2층 기획전시실과 1층 대한제국실에서「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특별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고궁박물관과 서..
창덕궁 달빛 아래 펼쳐지는 『한국관광의 밤』 □ 2010-2012년 한국방문의해를 맞아, 한국관광공사(사장 이참)와 (재)한국방문의해위원회(위원장 신동빈)가 공동으로 개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이 후원한 이번 행사는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창덕궁에서 개최되었다. “영감을 주는 나라, 한국..
창덕궁에서 매실차 담그기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소장 안정열)는 오는 6월 30일 오후 2시부터 낙선재 앞 매화나무에서 수확한 매실을 활용해 매실차를 담그는 행사를 개최한다. 매실은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몸이 산성화됨으로써 생기는 초조감과 불면증을 없애주는 동시에 특유의 신맛으로 소화기관에 영향을 주어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