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왕(릉) (252) 썸네일형 리스트형 창덕궁의 가을 창덕궁의 가을 --> 앙증맞은 금천교 난간위의 석수 --> 조선왕조 일람표 순서 표제 권수 책수 편찬연도 원제/비고 1 태조실록 15 3 1413(태종 13) 太祖康獻大王實錄 2 공정왕실록 6 1 1426(세종 8) 恭靖王實錄 3 태종실록 36 16 1431(세종 13) 太宗恭定大王實錄 4 세종장헌대왕실록 163 67 1454(단종 2) 世宗莊憲大王實錄 * 志 36책 포함 5 문종대왕실록 13 6 1455(세조 1) 文宗恭順大王實錄 (단, .. 조선시대의 5대 궁궐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5대 궁궐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경운궁) 그리고 경희궁(경덕궁)이다. 태조 이성계는 조선을 건국(1392년)하고 나서 수도를 지금의 서울인 한양으로 옮긴 뒤 제일 먼저 종묘와 사직 그리고 궁궐인 경복궁을 세웠다(1394년). 그리고 3대 태종 때(1405년)에는 경.. 창덕궁 관람 순서 1.돈화문 (敦化門: 보물 383호) 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태종12년)에 처음 지어졌다. 지금의 돈화문은 1609년(광해군 원년)에 다시 지은 것으로 현재 남아있는 궁궐 정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敦化는 『中庸』의 大德敦化에서 가져온 것으로 '(큰 덕은 백성등을) 가르치어 감화시킴을 도탑게 한다'는 .. 신선원전(新璿源殿) 1.신선원전(新璿源殿) '선원(璿源)' 은 '왕족의 유구한 계보'를 의미하며, 이곳은 임금님의 어진을 모시고 제를 올리는 전각이었습니다. 유교국가였던 조선시대에 선대의 왕을 기리는 제사는 매우 중요한 의식이었으며 음력 초하루와 보름에는 임금이 친히 향을 피우며 생신날에는 다례 (茶禮)를 행하.. 경복궁 건청궁 권역 1 현판과 주련-경복궁_건청궁 권역 1] 2010-06-07 오후 05:10 13. 건청궁乾淸宮 권역 13-h-1 건청궁乾淸宮 위치와 연혁 : 향원정 뒤쪽에 있다. 장안당(長安堂), 곤녕합(坤寧閤), 복수당(福綏堂) 등의 여러 건물을 관명문(觀明門), 필성문(弼成門), 청휘문(淸輝門) 등으로 둘러 독자적인 권역을 만든 것이다. 궁궐 안.. 조선왕조실록 왕대별 해제 1.《태조실록》의 편찬 및 개수 경위 《태조실록(太祖實錄)》은 태조 원년(1392)부터 7년(1398)까지 7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다. 정식 이름은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이다. 모두 15권 3책이며, 처음에는 필사본으로 전해지다가 후에 활자로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