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조선왕조실록 편찬과 관리 Home > 조선왕조실록 소개 > 소개 조선시대의 실록 편찬은 한 왕이 승하하고 다음 왕이 그를 계승하여 즉위한 후에 시작된다. 즉 어떤 왕의 실록은 그의 사후 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정에서 실록 편찬의 결정이 이루어지면 임시로 실록청(實錄廳)이 설치되고 총재관(總裁官) 이하 도청(都廳)과 각 ..
조선왕조실록, 유래와 체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조선시대 역대 임금들의 실록(實錄)을 합쳐서 부르는 책 이름이다. 즉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으로부터 《철종대왕실록(哲宗大王實錄)》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에 걸친 25대 임금들의 실록 28종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은 특..
경복궁 관람, 첨단 안내해설기기를 이용하세요 ! 경복궁 관람, 첨단 안내해설기기를 이용하세요 ! -디지털 가이드 안내서비스 구축- 한국관광공사(사장 이참)는 문화재청(청장 이건무),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 김홍렬)과 공동으로 경복궁 무인안내 서비스를 6월 2일부터 정식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이는 휴대용 단말기(PDA)에는 GPS(위성항..
태조임금 금보를 아십니까 조선시대 국가와 왕권을 상징하고 제왕의 권위와 왕실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인장을 어보御寶라고 한다. 이 어보는 왕위를 물려 주거나[傳國], 외교문서, 행정, 서적 반사頒賜, 책봉冊封·존숭尊崇·추숭追崇의 의례 등에 사용하였다. 제왕을 상징하는 인장의 용어로는 원래 새璽와 보..
경복궁의 역사 경복궁은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입니다. 북으로 북악산을 기대어 자리 잡았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는 넓은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가 펼쳐져, 왕도인 한양(서울) 도시 계획의 중심이기도 합니다.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하였고, 1592년 임진 왜란으로 불타 없어졌다가, 고종 때인 1867년 중건 되었습..
경복궁 태원전 권역 2 12-h-9 경안문景安門 위치와 연혁 : 태원전으로 들어가는 두 번째 문이다. 건숙문을 지나면 나온다. 언제 처음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며, 지금의 문은 2005년 복원한 것이다. 1872(고종 9)년에 영희전의 어진을 태원전으로 이봉(移奉)할 때, 보안문과 건숙문을 내외의 신문(神門)으로 삼았던 사실로 미루어..
궁예 태봉국 도성의 크기는?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에 궁예의 나라 태봉국 도성이 있었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궁예가 철원에 도읍(905년)하면서 쌓은 도성은 외성, 내성, 왕궁성 3중 구조를 정확히 갖추고 있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그 중앙을 휴전선이 통과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발굴조사를 ..
전주어진박물관 상량식 전주어진박물관, 상량식과 함께 웅장한 모습 드러내 ○ 문화도시 전주의 상징적인 존재가 될 전주어진박물관이 지난 5월 27일(목), 오후 2시에 상량식과 함께 그 모습을 드러냈다. 지상층 한옥건물의 주춧돌과 기둥 등 주요 부재의 조립 공사를 모두 마치고 상량식을 치르게 된 것이다. ○ 이날 상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