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태조어진봉안 600주년 기념행사 태조어진봉안 600주년 기념행사 “왕가의 산책 & 수문장 교대의식” ■ 일 시 : 2010. 11. 6(토) ~ 7(일) / 13:00~14:00 ■ 장 소 : 전주 한옥마을 경기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전주전통문화센터는 11월 6일(토)부터 7일(일)까지 태조어진봉안 600주년을 맞이하여 진행하는 기념행사에서 “왕가의 산책”과 “수문장..
어진박물관 11월 6일 개관 태조어진과 경기전의 역사를 담아낼 어진박물관이 태조어진 경기전에 봉안 600주년을 맞아 다음달 6일 개관식을 갖고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26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첫 삽을 뜬 박물관은 경기전 정전 뒤편에 지상 1층, 지하 1층, 건축 연면적 1,193.71㎡ 규모로 건립됐다. 박물관 외형은 태조어진..
창덕궁 연경당 권역1 연경당演慶堂 권역 10-h-1 연경당演慶堂 위치와 연혁 : 진장각(珍藏閣)이 있던 자리에 사대부의 생활을 알기 위해 효명세자가 순조에게 요청하여 세웠다고 전해진다.<원전 1> 그러나 일부 사료에는 순조에게 존호(尊號)를 올리는 경축 의식을 거행할 곳으로 건축했으며 ‘연경’이라는 이름도 이 때..
창덕궁 기오헌 구역 9. 기오헌寄傲軒 권역 9-h-1 기오헌寄傲軒 위치와 연혁 : 『궁궐지』에는 의두합(倚斗閤)이라고 나오는 건물이다. 의두합은 수많은 책을 비치하고 독서하던 곳이다. 『궁궐지』에 따르면 “영화당 북쪽에 있으며 예전에 독서처가 있던 자리인데 1827(순조 27)년에 익종이 춘저(春邸) 1)에 있을 때 고쳐 지..
『조선왕조실록실』개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경옥)은 오는 10월 20일(수) 부산 소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서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을 주제로 조성한 전시관,『조선왕조실록실』을 개관한다.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국보 제151-2호)을 소장하고 있는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은 조선왕조실록에 ..
창덕궁 주합루 권역 2 8-h-5 서향각書香閣 위치와 연혁 : 주합루 서쪽에 동향(東向)한 건물이다. 주합루나 봉모당에 봉안된 임금의 초상화·글·글씨 등을 포쇄(曝?), 즉 햇볕에 말리던 곳이다. 매년 4개월에 한 번씩 포쇄하여 봉모당에 안치하였다. 뜻풀이 : ‘서향(書香)’은 ‘책의 향기’라는 뜻이다. 책에서 나는 고유의 ..
세계유산 의릉사진전 문화재청 의릉관리소(소장 이소연)는 10월 9일부터 17일 까지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 역사(驛舍) 내에서 세계유산에 등재된 의릉을 전 국민에게 홍보하기 위해 『세계유산 의릉 사진전』을 개최한다.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은 의릉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1일 평균 2만여 명이 이용하는 곳으로 서울..
창덕궁 주합루 권역1 8. 주합루宙合樓 권역 8-h-1 주합루宙合樓 위치와 연혁 : 2층으로 된 건물인데, 원래 1층은 왕실 도서를 보관하는 도서관으로 규장각이라고 하였고 2층은 열람실로서 주합루라고 하였다. 나중에는 규장각이 인정전 서쪽 현재의 위치로 옮겨갔기 때문에 지금은 이 건물 전체를 주합루라고 부른다. 주합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