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관람객을 위한 궁궐별 전각 내부 개방 재개 문화재청(청장 최광식)은 동절기 동안 개방을 중단했던 경복궁 경회루 등 궁궐 주요 전각에 대한 개방을 하절기인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재개한다. 경복궁은 경회루의 특별 관람이 재개되며, 강녕전, 교태전, 건청궁 장안당의 대청마루를 개방 전각내부에 전시된 재현용품 관람이 가능하도록 하였..
종묘 종묘宗廟, 지금에 이르기 까지 종묘는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생전에는 왕이 아니었으나 죽은 후에 왕이나 왕비의 칭호를 얻은 이들의 신주(神主)를 봉안한 사당이다. 중심 건물은 정전(正殿)으로, 태조 이성계의 묘(廟)가 있어 태묘(太廟)라고도 한다. 역대 왕과 왕후의 신주는 사후에 일단 ..
경희궁 권역 5. 경희궁慶熙宮 권역 6-h-1 흥화문興化門 위치와 연혁 : 경희궁의 동쪽문이자 정문이다. 정조(1752~1800년)가 지은 『경희궁지(慶熙宮志)』에 “궁궐의 정문(正門)은 모두 다섯 개가 있는데, 동쪽에 있는 흥화문(興化門)은 어가(御駕)가 출입하는 정문이고, 그 문의 왼쪽은 흥원문(興元門)이고, 오른쪽은 개..
창덕궁의 달빛기행 문화재청(청장 최광식)은 궁궐의 아름다운 밤 풍경과 고품격 역사문화 콘텐츠가 어우러진 명품 관광 상품인 ‘창덕궁 달빛기행’을 오는 4~6월, 9~10월 보름을 전후해 총 18회에 걸쳐 운영한다. 지난해 살아 숨쉬는 궁궐 만들기의 일환으로 처음 실시된 ‘창덕궁 달빛기행’은 안내해설과 함께 돈화문–..
경희궁 경희궁慶熙宮, 지금에 이르기 까지 경희궁은 종로구 신문로에 자리한 이궁(離宮)이다. 서궐(西闕)·새문동(塞門洞) 대궐·새문안 대궐·야주개(夜珠峴) 대궐로도 불렀다. 원래는 인조(仁祖, 1595~1649년)의 생부 정원군(定遠君) 이부(1580~1619년)의 개인 주택이었으나, 이 곳에 왕기(王氣)가 서린다는 말을 ..
덕수궁 중화전 단오첩 5. 단오첩端午帖 2-j-1 중화전中和殿의 단오첩 위치와 연혁 : 중화전 외부에는 주련이 없고, 내부 기둥에 시를 직접 써서 붙인 종이가 15개 있다. 이는 단오첩(端午帖)으로, 단옷날 신하들이 지어 올린 축시(祝詩)이다. 글씨의 정확한 작성 연도는 알 수 없으나,시에 나오는 작자의 경력이나 관직,그리고 ..
덕수궁 기타 권역 4. 기타 권역 4-h-1 광명문光明門 위치와 연혁 : 덕수궁 서쪽에 있다. 원래는 함녕전의 정문이었다. 1904년 화재로 함녕전이 소실되고 이 문만 남은 것을 1938년 덕수궁미술관 개관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지금 광명문 아래에는 창경궁 보루각에 있던 물시계 자격루(국보 제229호)와 흥천사(興天寺) 범종(..
덕수궁 함녕전 3. 함녕전 권역 3-h-1 함녕전咸寧殿 위치와 연혁 : 중화전 동쪽에 있는, 고종 황제의 침전이다. 고종은 1919년 1월 22일 이 곳에서 승하했다. 1901년 7월, 황태자(순종)가 고종의 오순(五旬)을 경하하며 함녕전에서 잔치를 열었는데, 그 장면이 「신축진연도병(辛丑進宴圖屛)」1)으로 남아 있다. 함녕전은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