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창경궁 명정전 권역 15. 명정전明政殿 권역 15-h-1 명정전明政殿 위치와 연혁 : 창경궁의 중심 건물이다. 동향의 정면 5칸, 측면 3칸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마당에는 박석(薄石) 1)을 깔고 품계석 2)을 놓았다. 1484(성종 15)년 창건, 임진왜란에 소실된 것을 1616(광해군 8)년에 재건하여 현재에 이른다. 앞뜰에는 품계석이 좌우 ..
창경궁의 궁문 14. 궁문宮門 14-h-1 홍화문弘化門 위치와 연혁 : 창경궁의 정문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우진각 지붕이며 궁궐 정문으로는 드물게 동향을 하고 있다. 창경궁을 처음 지었을 당시인 1484(성종 15)년에 같이 지어졌으며 이름은 당시 의정부 좌찬성(左贊成)이던 서거정이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 지금에 이르기까지 창경궁(昌慶宮)은 창덕궁의 동쪽에 있는 별궁이다. 본래 세종 때부터 상왕(上王)을 모시던 수강궁 자리에 1484(성종 15)년 창경궁을 짓고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년), 덕종비 소혜왕후(昭惠王后: 인수대비, 1437~1504년), 예종비 안순왕후(安順王后, ?~1498년) 세 ..
창덕궁 신선원전 구역 신선원전新璿源殿 권역 13-h-1 선원전璿源殿 위치와 연혁 : 임금의 어진을 모시는 전각이다. 『한경지략』에 “선원전은 창덕궁안의 인정전 서쪽에 있다. 동쪽문을 만녕문이라 하는데 내각과 통한다. 숙종, 영조, 정조의 영정을 봉안하였고, 초하루와 보름에 임금이 친히 분향전배(焚香展拜) 1)하고, 생..
창덕궁옥류천 권역2 12-h-5 소요정逍遙亭 위치와 연혁 : 취한정 위의 옥류천 폭포 곁에 서 있는 정자이다. 『궁궐지』에서는“1636(인조 14)년 이 정자를 세우고, 처음에 탄서정(歎逝亭)이라 하였다가 후에 소요정으로 고쳤다. 수목이 울창하여 그림자가 오솔길을 덮었다.”<원전 1>고 하였다. 정면·측면 각 한 칸의 정자..
창덕궁_옥류천 권역 1 12. 옥류천玉流川 권역 12-h-1 옥류천玉流川 위치와 연혁 : 창덕궁 후원 북쪽 깊숙한 곳에 흐르는 개울이다. 1636(인조 14)년 가을에 바위를 뚫어 샘물을 끌어들여 바위 곁을 빙 돌아서 정자 앞에 이르러 폭포처럼 떨어지게 만들었다. 바위에 ‘옥류천(玉流川)’이라고 새긴 세 글자는 인조가 직접 쓴 글씨..
창덕궁 관람정 권역 11. 관람정觀纜亭 권역 11-h-1 관람정觀纜亭 위치와 연혁 : 일명 반도지(半島池) 가에 놓인 부채꼴 모양의 정자이다. 『궁궐지』에는 선자정(扇子亭)이라고 나와 있다. 『동궐도』에는 관람정이 보이지 않고, 반도지 또한 두 개의 방형 연못과 한 개의 원형 연못으로 나뉘어 있다. 한편 순종 때 그려진 『..
창덕궁 연경당 권역2 10-h-4 수인문修仁門 위치와 연혁 : 연경당의 안채 정문이며 장락문을 들어서면 서쪽에 있다. 장양문이 남성의 공간인데 비해 수인문은 여성의 공간이어서 행랑채와 높이가 같은 평대문이다. 일부 해설서에서 장양문은 솟을대문으로 높이 세우고 수인문은 평대문으로 세운 것에 대해 조선의 남존여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