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경복궁의 역사

경복궁은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입니다.
북으로 북악산을 기대어 자리 잡았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는 넓은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가 펼쳐져, 왕도인 한양(서울) 도시 계획의 중심이기도 합니다.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하였고, 1592년 임진 왜란으로 불타 없어졌다가, 고종 때인 1867년 중건 되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이 주도한 중건
경복궁은 330여 동의 건물들이 미로같이 빼곡히 들어선 웅장한 모습 이었습니다.

궁궐 안에는 왕과 관리들의 정무 시설, 왕족들의 생활 공간, 휴식을 위한 후원 공간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왕비의 중궁, 세자의 동궁, 고종이 만든 건청궁 등 궁궐안에 다시 여러 작은 궁들이 복잡하게 모인 곳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거의 대부분의 건물들을 철거하여 근정전 등 극히 일부 중심 건물만 남았고,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지어 궁궐 자체를 가려버렸습니다. 다행히 1990년부터 본격적인 복원 사업이 추진되어 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고 흥례문 일원을 복원하였으며, 왕과 왕비의 침전, 동궁, 건청궁, 태원전 일원의 모습을 되찾고 있습니다.

광화문 - 흥례문 - 근정문 - 근정전 - 사정전 - 강녕전 - 교태전을 잇는 중심 부분은 궁궐의 핵심 공간이며,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대칭적으로 건축 되었습니다. 그러나 중심부를 제외한 건축물들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변화와 통일의 아름다움을 함께 갖추었습니다. 수도 서울의 중심이고 조선의 으뜸 궁궐인 경복궁에서 격조 높고 품위 있는 왕실 문화의 진수를 맛보시기 바랍니다.
 
 
태조
태조
태조
태조
1년
3년
4년
5년
(1392)
(1394)
(1395)
(1396)
조선 개국
신도궁궐조성도감 설치,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
종묘·사직 그리고 경복궁 창건
경복궁 궁성 축조
 
 
태종
세종
세종
세종
세종
세종
세종

세종
세종
세조
성종
12년
9년
11년
13년
14년
15년
16년

20년
25년
2년
5년
(1412)
(1427)
(1429)
(1431)
(1432)
(1433)
(1434)

(1438)
(1443)
(1456)
(1474)
경회루를 고쳐 지음
동궁 자선당 건립
사정전과 경회루 다시 지음
광화문을 고쳐 지음
문소전을 새로 지음
신무문 새로 지음. 강녕전 고쳐 지음
광화문에 새 종 설치. 보루각 새로 지음(자격루 설치).?융문루
·융무루 수리
흠경각 새로 지음(옥루기륜 설치)
계조당·교태전 새로 지음
취로정 새로 지음
근정전에 청기와 올림
 
 
중종
명종
선조

38년
8년
25년
(1543)
(1553)
(1592)
동궁 화재로 인해 소실
화재로 인해 강녕전, 사정전, 흠경각 등 소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소실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2년
4년
5년
10년
13년
25년
(1865)
(1867)
(1868)
(1873)
(1876)
(1888)
경복궁 중건 시작
경복궁 중건 완료. 근정전에서 조하 의식 거행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이어
경복궁에 건청궁 새로 지음
화재로 인해 830여칸 건물 소실
강녕전·교태전·자경전 등 다시 지음
 
 
경복궁종합정비개요
1915년
1918년
1927년
1954년
1968년
1975년
1994년
1995년
1997년
1999년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개최. 조선총독부 박물관 건물 준공
강녕전, 교태전 등 내전 전각 훼철
조선총독부 청사 준공.광화문 이건
경복궁 일반공개
광화문 복원
영추문 복원 및 동정문 건립
강녕전·교태전 일곽 복원
흠경각 복원, 구 조선총독부 박물관 건물 철거
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동궁 복원(자선당·비현각)
 
 
2001년2003년2005년
2006년
2007년
흥례문·유화문·영제교 복원
근정전 귀고주 교체 및 지붕 전면 보수
경회루 동편담장 복원, 태원전 일곽 복원
건청궁 일곽 복원
합화당 ·집경당 보수 및 주변행각 복원 중 (~2008년까지)
광화문 일곽 복원 중 (~2009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