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와 전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2006년도 전북 관련 문화관광 분야 예산으로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 사업으로 20억원을 계상했지만 예산 심의과정에서 반영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11월 16일 전라북도와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전주시 경원동 전북도 제2청사 부지에 무형문화재 공연 전시와 기록을 보존하는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을 추진한다.
부지 6천 여 평에 내년부터 2010년까지 모두 4백93억원(부지매입비 제외)을 들여 무형문화유산전당을 만들 계획으로, 문화재청은 건축비를 복권기금으로 확보해 지원하며 전주시는 부지만 제공하는 조건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전당이 건립되면 무형문화재 관련 각종 기록보존실과 중요무형문화재의 종목별 전승관, 영상자료관, 전통 공예관, 공연장, 연수원이 설치되며, 무형문화재 전시와 공연, 작품 및 유품 수집, 무형문화유산 기록물 대여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등 전주가 전통문화예술의 중심적 위치를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본조사 설계비 7억9천3백만원, 실시설계비 11억8천9백만원, 시설부대비 1천8백만원 등 20억원을 신규편성, 2006년도 예산계획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국회 상임위 예산 심사 결과, 전주전통문화중심도시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이 완료된 후 건립 여부를 결정 등의 과정을 거친 다음,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 위한 기본조사 설계비 및 실시설계비를 편성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검토보고서가 나왔다.
또, 일반회계 재원 부족을 이유로 대규모 건립공사를 복권기금에서 수행하는 것은 기금 설립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보고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전라북도의 관계자는 "무형문화유산전당 건립은 판소리와 농악 전통한지 등 무형문화가 잘 보존된 전주에 무형문화유산 전당을 건립키로 문화재청과 합의한데 따른 사업으로, 인근의 한옥마을과 연계한 관광 상품으로 개발할 수 있는 등 시너지효과가 클 것이다.."며 "여러 각도에서 예산 반영을 관철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민일보 이종근기자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있습니까. 잊혀져가는 2.8독립선언일 (0) | 2006.02.07 |
---|---|
1백99년만에 모습을 드러낸 황산대첩비문 (0) | 2005.12.24 |
문화재관람료 합동징수,문화재관람료가 공원입장료수입보다 더 많아 (0) | 2005.11.18 |
현존 최고 익산춘포역사 근대문화유산되다 (0) | 2005.11.15 |
세계기록유산 신청, 해당 문화유산 없을 듯 (0) | 2005.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