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7년 7월 9일 부안 계화도 근처 골짜기에 프랑스 선박 2척이 표착했다
1847년(헌종 13년) 7월 9일 부안 계화도 근처 골짜기에 프랑스 선박 2척이 표착했다. 전라감사 홍희석이 비변사에 올린 장계에 따르면 당시 좌초된 군함 두 척의 이름은 글로아(Gloire)와 빅토리아(Victorieuse)였고 두 배에 탄 사람이 600명이었다. 배에는 모두 화약과 화포가 있었다.
비변사는 “프
랑스인들이 쌀과 곡식을 달라고 간청해 왔습니다. 심문해 보기 전에 지급하지 않는 것이 전례이지만 정황을 헤아려 먼저 먼 지방 사람을 너그럽게 대한 뒤 심문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또한 서울의 역관 한 사람을 뽑아 속히 내려보내도록 분부하심이 어떻겠습니까”라고 왕에게 아뢰었다.
부경대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단장 김창경)이 '동북아해역 표류인 취재 기록'(소명출판)을 펴냈다. '아시아의 표해록'(2019)을 필두로 '조선표류일기'(2020), '청국표류도'(2022)에 이어 네 번째 번역 출판물이다.
당시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상 활동은 꾸준히 있었지만 이들은 대체로 식자층이 아니어서 조난을 당한 뒤 무사히 귀환을 했다고 하더라도 기록으로 남는 일은 많지 않았다. 표해록은 조난이라는 위험한 상황에서 구사일생을 한 사람들이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기록으로 남겨진 것이기에 의미가 있다.
'아시아의 표해록'은 한국·중국·일본·대만의 대표적인 표류 기록을 모은 것이고, '조선표류일기'는 일본인들이 조선에 표착한 뒤 귀국하는 과정을 적은 기록이다. '청국표류도' 역시 일본인들이 중국 곧 청나라에 표착했다가 일본으로 돌아간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세 권의 표해록은 모두 표류 당사자 또는 그들의 얘기를 듣고 기록해 준 이들에 의해 작성됐다.
'동북아해역 표류인 취재 기록'은 동아시아 지역의 표류인 인터뷰를 모아보자는 기획에서 출발, '고려풍속기'(高麗風俗記·1741)와 '유방필어'(遊房筆語·1780)를 수록했다. 중국의 '고려풍속기'는 중국 절강(浙江)에 떠내려온 조선인을 인터뷰한 내용을 기록했고, 일본의 '유방필어'는 일본에 표류한 중국인을 인터뷰한 내용이다.
하지만 조선에서는 사적으로 이국의 표류민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하는 것은 금지되었기 때문에 위의 두 책과 같은 자료를 발굴할 수 없었다. 대신 '조선왕조실록', '비변사등록' 혹은 각 지방지와 같은 공적인 조서와 기록에 전해지는 기록을 통해 국내 최초로 조선·중국·일본의 표류인 인터뷰 기록을 한 권으로 엮었다./이종근
http://www.sjbnews.com/news/news.php?code=li_news&number=838294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시정부 주석 김구, 광복 후 정읍을 찾아 "정읍에 빚진 게 많다" (1) | 2025.01.14 |
---|---|
전주 골목길의 '삼원한약방' (1) | 2025.01.12 |
국토외곽 먼섬 지원 대상된 ‘부안 상왕등도’ (0) | 2025.01.08 |
천인산과 만인산 (0) | 2025.01.07 |
'근대를 살아낸 화가, 채용신'국립전주박물관, 채용신의 회화 세계 조명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