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스토리

전북 고창 송계정 이건해 만들어진 임실 호숫가의 찻집 '하루(霞樓)'



고창의 송계정 이건해 만들어진 임실 호숫가의 찻집 '하루(霞樓)'

전북 임실, 호숫가에 작은 돌담을 끼고 단아하게 자리 잡은 한옥 찻집 ‘하루’.

옥정호 너머로 먼 산이 바라다보이는 다실. 사계절 바뀌는 풍광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집니다.

이곳에서 자그마한 차 밭을 가꾸며 소박하게 살고 싶어 하던 주인장은 아름다운 풍광을 더 많은 이와 즐기고자 작은 다실을 만듭니다. 그의 이런 소박한 바람이 간결한 공간을 낳았고, 이 간결한 공간은 여러 사람에게 고요한 휴식을 주고 있습니다.

'하루(霞樓)' 는 아름다운 노을(霞)을 보며
차를 마시는 누각(樓)이라는 의미입니다.

'하루’의 한옥 본채는 편액이 송하정(松霞亭)입니다. 소나무와 노을이라는 뜻입니다.

고창의 해리에 있던 '송계정(松溪亭)' 건물을 이쪽으로 옮겨오면서 송하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조선조 말 성영덕(창녕성씨)이 나라가 기울어지자 귀향해 지은 건물로 본래는 '송계정'이었다고 합니다.
1911년 보수, 1921년, 1933년 그의 아들 성한수가 중건했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이곳은 선조들의 사랑방으로, 또는 은밀히 독립자금을 조달하는 장소로 쓰였다고 합니다.

'송산리(松山里)'는 고창 고창군 해리면에 속하는 법정리입니다.송산리는 동학 농민 혁명 이전에는 ‘청산’으로 불렸습니다. 동학 혁명 중에 뒷산의 우거진 소나무 덕에 마을이 무사했다는 이유로 ‘송산(松山)’으로 개칭되었다고 합니다.
1530년대 밀양박씨(密陽朴氏)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본래 무장군 청해면(靑海面)의 지역으로, 문화 유적으로는 상송마을에 고려시대 문신인 성사달(成士達) 등 창녕성씨(昌寧成氏) 5명을 모신 송양사(松陽祠, 전북 문화재자료 제163호)가 있고, 호서쇄관을 지낸 성영덕(成永德)의 옛 송계정(松溪亭) 정자 터가 있습니다. 행산마을에도 성터(城址)인 원턱골이란 지명과 봉수대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해리면의 정자로 유명한 것은 송계정(松溪亭), 풍욕루(風浴樓), 경현당(景賢堂)이 있었습니다. 다음은 성영덕이 지은 '송계정' 칠언율시입니다.

솔 푸르고 시냇물 희니 고을의 안개 붉었다
고요한 자리에 난간 이루니 안계(眼界)가
통한다
과거의 분망한 일들이 꿈속 같거늘
만년의 소일거리 시 속에 묻히는 것 더 하더라
높은 절개 성글고 야위었으니 몇 번이나 풍설을 견디었는가
참된 근원 맑고 맑으니 청렴한 바람이 움직이더라
향사(香社)와 난정(蘭亭)은 천년 아래
뒷사람 감히 취미가 같기를 바라네

'솔 푸르고 시냇물 희니 고을의 안개 붉었다'는 한자로 '松靑溪白霞紅(송청계백동하홍)'입니다.

때문에 이 자리엔 강천수의 '차성침랑영더식송계운'(次成寢郞永悳松溪亭韻, 침랑은 종묘 등을 관리하는 참봉)과 '차송계정(次松溪亭) 십승운(十勝韻)'이 전합니다.
노송학관(老松鶴觀, 늙은 소나무의 학을 보다), 평천어기(平川漁磯, 평천의 낚시터), 방현초거(榜峴樵籧, 방고개 나무꾼 피리 소리), 고성청람(古城靑嵐, 옛 성의 푸른 이내), 안시야등(安市夜燈, 안산시장 등불), 도솔효종(兜率曉鐘, 도솔암의 새벽 종소리), 붕산명월(鵬山明月, 한산의 밝은 달), 계교가화(鷄郊嘉禾, 계교의 황금 들판, 죽림초설(竹林初雪, 죽림에 내리는 첫눈), 봉래귀운(蓬萊歸雲, 봉래산으로 돌아가는 구름) 등 10개의 좋은 경치가 전합니다.

옥정호로 이전되기 전에는 춘암(春菴)의 송계정(松溪亭) 등 현판 30개가 자리했다고 합니다. 2003년 현재의 장소로 옮겨 차 문화공간으로 쓰여지고 있습니다.

효봉 여태명 서예가가 입구의 입간판 '하루'와 '송하정'이란 글씨를 한글로 써 단아한 맛을 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