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
이 말은 조선 정조 때의 문장가 유한준이 남긴
명언을 토대로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구절을 좀 고쳐서, 문화유산을 보는 자세에 대하여 말한 것입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이
말은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1권의 머리말 일부입니다.
이로부터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제2권을 통해 이를 정정하고 보완한 대로, 이 구절의 원문은 "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 입니다.
이는 정조 때의 문장가인 유한준(兪漢雋, 1732 - 1811)이 당대의 수장가였던 김광국(金光國)의
화첩 석농화원(石農畵苑)’의 부친 발문에서 따온 것입니다.
‘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지즉위진애 애즉위진간
간즉축지이비도축야)’
이를 옮기면 "알면 곧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참으로 보게 되고, 볼 줄 알게 되면 모으게 되니
그것은 한갓 모으는 것은 아니다"입니다.
이 문장으로 "아는 만큼 보인다" 즉, "알아야 참으로 보게 된다"라는 뜻의 한문을
만들면, "지즉위진간(知則爲眞看)"이 됩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느끼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꼼꼼하게 체크하면서 무심코
지나치지 않는다면 새로운 세상이 열리지 않나요.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AFC 아시안컵 전주서도 개최되나 (0) | 2018.05.28 |
---|---|
춘우(春宇)장학재단 (0) | 2018.05.22 |
우리 고장 문화재 내가 지키고 가꿔야 (0) | 2018.04.30 |
아버지 (0) | 2018.04.29 |
진안고원 (0) | 2018.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