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종근의 행복산책

한국민속예술축제

 

 

우리 민족은 불행한 역사의 수레바퀴로 점철된 과정의 연속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6.25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무수히 많은 것들이 주위에서 하나둘씩 잊혀져갔다. 그중에서도 전통문화의 단절은 참으로 뼈져린 아픔을 가져준 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전히 반드시 이어가야할 숙제로 우리 앞에 남아 있다.

한국민속예술축제(구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는 이같은 위기 상황을 인식한 가운데 1958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그 동안 40여 년을 거쳐오면서 4백80여 종목의 각 지역 민속예술이 발굴및 재현되고 있다.

이전의 관 주도의 행사가 아닌, 전국을 순회하며 치러지는 전국민속예술축제가 낙후된 지역에서의 축제를 통해 해당지역의 순수 문화인들이 만들어 가는 민간 사무국 구성과 함께 각 지역이 담고 있는 순수 전통문화를 사실적으로 표현해 냄으로써 문화 인플레이션(inflation) 구축의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전라북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출전해 제7회 정읍농악 등 그동안 8회 대통령상 수상에 빛나는 성과가 바로 오늘의 전북 민속예술을 지탱하게 한 정신이요, 한국 전통 문화예술의 메카로 통하고 있다.

이 대회를 통해 필봉농악, 강강술래, 위도띠뱃놀이, 함열농기뺏기놀이, 남원용마놀이, 익산목발노래, 삼동굿놀이, 익산농악, 이리농악, 정읍범패승무, 부남방앗거리놀이, 금과들소리, 만두레풍장굿, 고창오거리당산제에 이르기까지 40여 종이 새로 발굴됐다.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에 출전할 전북 대표팀을 가리는 전북민속예술축제가 4일 부안에서 펼쳐진다. 올해 민속예술축제는 부안마실축제와 함께 하면서 많은 관객들과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이며, 익산기세배놀이가 특별공연으로 참가해 더욱 풍성한 무대가 될 것 같다.

 일반부는 정읍농악, 김제우리문화연구회 농악판굿, 부안 우동리당산제, 순창쌍치농악, 전라좌도 무주굿 총 5개팀이며, 청소년부의 경우, 김제시청소년농악단 1개 팀이 참가한다. 최우상을 받을 경우, 오는 10월에 경북 김천서 열리는 제53회 한국민속예술축제 및 제17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이 참가할 자격은 물론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이번 행사는 전북을 대표하는 최고의 민속예술작품의 공연을 한곳에서 관람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전통민속 기량을 연마해 소중한 우리 민속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거의 매번 행사를 앞두고 급조해 팀을 꾸려가야 하고, 또 만족할만한 보상을 하지 않으면 출전을 주저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비단,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므로 무형문화재 전수관 건립 및 정비, 기,예능 보유자 전수 활동비 지원 등 전통 민속예술 사업을 연속성 있게 추진할 것을 주문한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찾기 힘들다  (0) 2012.05.08
카네이션의 의미  (0) 2012.05.07
신경준  (0) 2012.04.25
기네스 인 전주  (0) 2012.04.22
전주비빔밥, 우주인들 입맛도 사로잡을까?  (0) 201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