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값 받지 못하고 버려지는 못난이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촉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농식품부 조사 결과 버려지는 못난이 농산물 비용은 연간 최대 5조원에 달한다. 맛이나 영양 등에서 전혀 차이가 없지만 표준 규격에 못미친다는 이유로 제값을 받지 못하고 버려지는 등 유통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도내 농업인에게 체계적인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못난이 농산물의 유통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도내 14개 시군의 20개 전략품목 중 못난이 농산물 발생량은 과채류 1만9,558톤(486억원), 엽채류 2,560톤(80억원), 조미채소류 1만5,459톤(311억원), 과일류 1만6,358톤(526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미 해외에서는 푸드 리퍼브 시장이 유럽 전역과 북미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어글리어스 마켓(2020년 설립), 못난이 마켓(2023년 설립) 등에서 못난이 농산물 정기배송을 실시하고 있다. 전북자치도 차원에서 못난이 농산물 발생 및 유통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다양한 유통채널을 활용해 유통을 활성화해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이 실시한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 결과, 응답자의 60.5%가 못난이 농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었다. 구매 이유는 가격이 일반 농산물보다 저렴해서 구입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하지만 못난이 농산물은 일반 농산물보다 30~40% 낮은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택배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못난이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해 일정한 물량 확보와 적정한 가격 결정이 중요하다. 도내 농산물 품목조직에서 취급하는 농산물을 대상으로 발생량 등 실질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판매되지 못해 버려지기 일쑤였던 못난이 농산물이 지역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농산물 가격 상승과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 등을 막고자 지자체마다 못난이 농산물 판로 확대를 위해 조례 제정이 확산하고 있다. 전북자치도의회에 따르면 이 같은 전북산 못난이 농산물 판매를 촉진하도록 한 ‘못난이 농산물 유통 활성화 지원 조례’가 제정됐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구축하고, 포장재 개발과 제작, 운송, 안전성 검사 등 체계적인 유통 서비스 제공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가 못난이 농산물에 관심을 쏟는 이유는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고물가로 알뜰한 소비를 하는 체리슈머가 부상함에 따라 못난이 농산물의 소비와 인지도가 올라가는 추세다. 이번 조례제정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져 제값을 받지 못하는 못난이 농산물 유통을 위한 지원을 확대, 농가 소득 증대와 소비자 편익, 환경 부담을 줄이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상품성이 떨어져 제값을 받지 못하는 못난이 농산물 유통을 위한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농가 소득 증대와 소비작 편익, 환경부담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수 위 달 그림자’의 출처를 알고 보니 (0) | 2025.02.26 |
---|---|
목생도사(木生道死) 와 '목단도장(木短道長)' (1) | 2025.02.25 |
2025년 을사년 지혜와 불사의 상징 ‘푸른 뱀’…미래 ‘청사진’도 그려보세요 (3) | 2025.01.29 |
전북의 숲을 살려야 (3) | 2024.12.15 |
전주전시컨벤션센터, 잘 만들어져야 (2)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