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스토리

익산서 권근이 지은 '입학도설'

조선의 기틀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양촌 권근(1352~1409)이 1390년 익산으로 유배를 왔다. 조선의 성리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입학도설(入學圖說)'을 익산에 있는 동안 지었다. 이는 성리학의 그림책으로, 대학이나 중용 등의 추상적이고 어려운 성리학의 철학을 쉬운 그림으로 설명한 책이다. ‘입학도설’은 모두 40여 개의 도설이 실려 있다. 도설의 핵심은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이고, ‘대학지도’, ‘중용수장분석지도’ 등이 대표적이다. 이 도설은 남송 주렴계의 태극도 및 주자의 중용장구의 설을 참조하고 기타의 설을 절충하는 동시에 권근 자신의 견해도 제시했다. 진양 대도호부사 김이음(~1409)이 1396년 진양에 부임한 후 학생들로부터 입학도설을 얻어 보고 그 정교함에 감탄해 책을 간행하게 했다.
이 책은 국내외에 걸쳐 4~5종이 전해지고 잇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1425년과 1547년 그리고 1929년에 발간된 판본이 마이크로필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권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사상가이자 정치가다. 삼봉 정도전과 더불어 유교 국가 조선을 유교 국가답게 하는 성리학적 이론의 근거를 마련한 이론가이기도 하다. 정도전이 조선을 창업하는 사상과 제도의 틀을 설계했다면 권근은 조선을 보다 안정시키는 수성의 사상과 제도적 기반을 다졌던 인물이다. 양촌 권근에게 많은 저술이 있으나 그중에서도 대표할만한 저술은 ‘입학도설’과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이라고 할 수 있다.
권근은 스승인 목은 이색과 정치적 행보를 같이함으로써 정도전 등 혁명세력으로부터 극심한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공양왕 2년(1390) 5월 윤이 이초가 명나라 황제에게 공양왕과 이성계가 군사를 일으켜 명나라를 치려 한다고 거짓으로 고하고 명나라의 힘을 빌려 이성계를 제거하려 했던 ‘윤이 이초의 난’에 연좌되어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등과 함께 청주옥에 갇혀 있다 갑자기 홍수가 나는 바람에 청주옥 바로 앞에 있는 은행나무에 올라 겨우 살아났다. 이후 익산으로 유배지를 옮기게 된다. 이때 “초학자 한둘이 찾아와서 대학과 중용을 배우려 해 설명해도 분명히 이해하지 못했다”(권근의 서문) 안타까운 나머지 권근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철학을 그림으로 그려 “학생들이 질문하면 그에 대해 응답해 주었다. 그 문답한 내용을 기록해 그림 뒤에 붙이고 이름을 입학도설이라 했다”(서문)
유배지에서 조선성리학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설(圖說)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다. 성리학의 철학적 내용을 그릴 만한 것은 모두 그렸다. 그 딱딱한 철학공부를 그림을 그려 이해시켰다는 점이 기발하다. ‘입학도설’은 심오하고 무한한 사고의 세계를 체계적인 도표로 설명하여 사유 구조를 일맥상통하게 설명하므로, 학문을 시작하는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들도 이해하기가 쉽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국역 '입학도설(조우진, 정영수)'이 한국학호남진흥원의 저술 지원에 선정, 이번에 발간됐다. 익산의 유학을 다시 한 번 보는, 되새기는 계기로 작용하기 바란다./이종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