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은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기념일이었다. 동학농민혁명의 위상을 찾기 위해 그동안 연구자와 후손들의 노력이 컸지만 중앙 부처나 국회 단계에서 번번이 좌절되면서 이제 정치권이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읍에서는 전국 최대규모의 기념공원이 첫 삽을 떴고, 유족들에게 수당이 지급되고 있다.포고문과 행동강령을 만들어 혁명의 기틀을 마련한 고창 무장봉기는 모든 한국사 교과서에 실리면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게 됐다. 학농민혁명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작업은 막바지에 이르렀고, 외국어 기록물 연구도 활기를 띠고 있다.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지 꼭 130주년이 되는 해이지만 무엇보다도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선 참가자들의 명예회복도 갈 길이 멀다. 역사 교과서의 용어는 '동학농민운동'을 2004년 '동학농민혁명'으로 명명하고 2019년에는 국가기념일까지 지정했지만 현실은 여전히 동떨어져 있다.
국가보훈부가 내규로 정한 독립운동의 시작은 명성황후 시해에 항거한 1895년 을미의병 바로 한 해 전인 1894년 봉기해 일제와 맞서 싸운 동학농민군은 그 공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2차 봉기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 동학농민군은 3,000여명으로 동학이 100년 넘게 걸머져온 반란과 역적의 멍에를 벗고 항일과 자유, 평등 사상에 미친 가치를 조금씩 인정받고 있지만, 독립유공자 서훈을 비롯한 진정한 의미의 명예회복과 재평가까지는 아직 가야할 길이 멀어 보인다.
동학농민혁명 무장포고문은 보국안민의 정신을 강조했다. 백산대회 격문에는 백성을 도탄에서 구한다는 내용이 담겼고, 전주화약은 평등한 세상을 위한 폐정 개혁안과 관민협치의 상징 집강소 설치를 이뤄냈다. 동학농민혁명도 3·1운동처럼 우리 헌법 전문에 명기할 당위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헌법 전문 명기에 대한 정치권의 본격적인 논의는 없다.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앞장서서 수록을 약속한 5·18과 비교된다. 많은 유적지가 여전히 곳곳에 방치돼 있고, 사후 관리가 안되고 있다. 적극적인 발굴 조사와 연구도 미흡하다.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정부 차원의 포상 여부도 관건이다. 지난해 9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에서 서훈과 관련된 동학농민혁명 명예회복 특별법 개정안을 의결하고도 국가보훈부의 반대에 부딪혔다. 국가기념식 위상 제고와 기념 사업을 선양할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도 요구된다. 정부에서 동학농민혁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국회에서 지속적으로 이슈화하고, 기념식에 대통령도 참석하도록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 중국 태평천국운동, 인도 세포이항쟁과 함께 아시아 3대 민중혁명으로 평가받는 동학농민혁명. 명실공히 세계사적 혁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22대 국회 개원을 앞둔 정치권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평등, 자주의 기치를 내걸고 부패와 외세에 항거했던 동학농민혁명. 선열들이 목숨 바쳐 일군 혁명 정신을 오늘에 되살리기 위한 노력에 부족함은 없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판관 신달도 (0) | 2024.05.17 |
---|---|
김제 학성서원 개원 (0) | 2024.05.13 |
이종근, 8월 8일 오후 5시 전주 삼양다방 '전라감영 600년 오디세이' 특강 (1) | 2024.05.13 |
역전의 명수 군산상고 '7080 군산'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1) | 2024.05.03 |
순창양씨 '남원양(楊)'씨를 빛나게 한 집’. [휘양관(輝楊館)'과 '만수탄 종호8경'을 알아보니] 순창 동계 구미마을에 보물 등 다양한 문화재 전시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