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익 전라감사로 부임한 지 10일 만에 최치봉을 잡아들여 죄를 묻고 곤장을 친 후, 고창에서 죽음맞아
최근들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취약계층들은 더욱 돈을 구하기 어려워지는 악순환의 고리에 놓이고 있다.
그래서 금융 당국이 긴급 생계비 대출을 출시했다. 100만 원 한도로 연체 이력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신청한 당일 즉시 빌려준다. 신용 평점이 하위 20% 아래이고 연 소득이 3천500만 원이 안 되는 사람이 대상이다.먹고 살기조차 빠듯한 취약계층에게는 그래도 단비 같은 소식이다.
'유지불유(誘之不牖)하고 교지부전(敎之不悛)하고 호종기사(瑚終欺詐)하여 위원악대간자(爲元惡大奸者)는 형이임지(刑以臨之)니라. 타일러도 깨닫지 못하고 가르쳐도 고치지 않으며 끝내 허물을 뉘우칠 줄도 모르고 사기만을 일삼는 간악한 자는 형벌로 다스려야 한다'
조선 정조 때 이노익(李魯益, 1767∼1821년)이 전라감사로 재직할 당시 감영 아전인 최치봉(崔致鳳)의 악행을 다스리면서 했던 말이다.
“근래 백성들의 폐단이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사채(私債)가 특히 심합니다. 흉년에 가난하고 초췌한 백성들이 먹고살 길이 없어 마침내 모두 부잣집으로 몰려가서 사채를 빌려 두 배의 이자로 갚고 있습니다. … 만약 갚지 못하고 본인이 먼저 죽으면 기필코 다시 그의 자손과 친족에게 거둡니다”
이는 승정원일기’ 1725년 7월 16일자의 기록이다.
조선은 대출사업이 매우 성행했던 나라다. 조선 초기부터 쌀이나 비단 등으로 대출사업용 펀드(대금)를 조성했고 18세기부터는 화폐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대출자금 조성 행위를 ‘입본(立本)’이라고 하고, 대출사업을 칭하는 용어는 급채(給債) 방채(放債) 흥리(興利) 식리(殖利) 등이 있으나 식리가 가장 일반적이었다. 대출이자를 ‘이식(利息)’이라 하고, 50%가 넘는 고금리를 ‘장리(長利)’라 불렀다.
대출사업자의 공사(公私)에 따라 공채(公債)와 사채(私債)로 구분했으며, 해당 분야 전문가를 ‘흥리인’ 혹은 ‘식리인’이라 불렀다.
조선 건국 초기부터 대출사업은 관에서 주도했다. 이 과정에서 대출금리 책정이 가장 큰 문제였다. 조선 초기부터 다소 예외는 있었으나 공채와 사채의 대출금리는 각각 20%와 50%가 일반적이었다.
이처럼 공식적으로 등장하는 대출금리와는 달리 ‘무명자집’에는 매우 극단적인 사례가 등장한다. 대출금리가 연 100%에 이르고 1년 후 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을 다시 원금으로 계산하여 연 100%의 이자를 매긴다.
향도미(香徒米)라는 상품은 쌀을 대출받는 방식으로, 금리가 200%에 이른다. 18세기를 지나면서 일반 서민들의 고통이 짐작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세종대왕의 사위 윤사로(尹師路)와 한명회, 윤필상 등의 고관대작들은 물론이고 승려들과 사마시 출신들(생원, 진사)의 자치 협의기구인 사마소(司馬所)도 사채업에 종사했다. ‘허생전’의 등장인물 변승업 역시 사채업으로 많은 돈을 모든 것으로 추정된다.
최치봉은 가장 대표적인 사채업자였다. 그는 전라도 전체 53개 읍에 2,3명의 아전들을 포섭하여 스스로 맹주가 됐다. 그리고 매년 수십 만 냥을 조성하고 자신이 포섭한 아전들에게 지원,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사채놀이를 하게 했다.
특히 청렴하고 법을 잘 지키는 관리들은 중상모략하고 탐관오리들인 경우 그들의 비리가 담긴 기록물들을 모두 빼내어 삭제해 주면서 자신의 위상을 세웠다.
그러던 중 이노익이 전라감사로 부임한 지 10일 만에 최치봉을 잡아들여 죄를 묻고 곤장을 친 후 3, 4개 고을을 옮겨 다니며 수감한 바, 결국 고창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긴급 생계비 대출은 좀 살펴볼 부분도 있다. 일단 신청해도 바로 100만 원을 주는 건 아니다. 대출 한도도 적은 데다, 금리가 너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융 당국에 물어봤더니 저축은행 등 2금융권과 대부업 등의 금리를 고려했다고 했다. 또 온라인 불법 대부업체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대출 금액이 40만 원인 점을 고려해 100만 원을 한도로 했다고 설명했다.불법 대부업체를 탓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이다지도 서민의 삶이 팍팍한지 그 원인을 캐묻고 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이종근(문화교육부장)
http://sjbnews.com/news/news.php?number=780590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분청사기를 기록하고 기억해야 (2) | 2023.11.20 |
---|---|
<이종근의 역사문화 이야기 45> 전주판관 현득리의 과거장에서의 부정을 벌하다 (1) | 2023.11.19 |
<이종근의 역사문화 이야기 47> 다산 정약용, 관찰사의 지시로 강도를 때려죽이다 (1) | 2023.11.19 |
[호남은 언제부터 호남이었나 알고보니] '호남'이란 별칭은 조선 성종과 중종 거치면서 정서적으로 구분되는 지역성 가져 (0) | 2023.11.15 |
전라도 장수현에 살던 양사헌, 노름에 손댔다가 가산탕진하다 (1)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