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문 스토리] 정읍 고부출신 '백운경한(白雲景閑)',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의 발원문 작자로 확인
'백운경한(白雲景閑)'이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의 발원문 작자로 확인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 유물'이 최근들어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가 됐습니다.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은 현존하는 유일한 고려 후기 금동약사불상입니다. 발원문(發願文·부처에게 비는 소원을 적은 글)에 고려 충목왕 2년(1346)이라는 제작 시기가 적혀 있습니다.
표현에는 단아하고 정제된 14세기 불교 조각의 전형적 양식이 반영됐습니다.
약그릇인 약합(藥盒)을 든 약사여래 도상이 온화하고 자비로운 표정과 비례감 있는 신체, 섬세한 의복 장식 표현 등으로 정확하게 나타납니다.
길이 10m가 조금 넘는 발원문도 역사·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물입니다. 시주자, 발원자 등 1117명의 이름이 기록돼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고려 단일 복장발원문으로서 가장 많은 인명을 담고 있다"며 "공민왕의 몽골식 이름인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도 발견된다"고 했습니다.
발원문 작자인 승려 백운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편찬한 백운 경한(白雲景閑, 1298~1374)과 같은 인물로 추정됩니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은 1377년 간행된 현존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입니다.
백운 경한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 선승(禪僧)입니다.
그는 나옹 혜근(1320~1376), 태고 보우(1301~1382)와 함께 고려 말을 대표하는 ‘삼화상(三和尙)’으로 불립니다.
태고는 현재 조계종의 중흥조이자 태고종의 종조로 추앙되고 있고, 나옹은 석가모니불의 후신(後身)으로 추앙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운화상에 대해서는 한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고부 출신으로 호는 백운(白雲), 10세를 전후로 출가했다는 기록 이외 50대 초반까지 행적이 거의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경한의 행적은 '백운화상어록'과 '고려사'에 단 한편의 기사만이 전할 뿐입니다.
중국 절강성 호주(湖州)지역 하무산 석옥청공화상에게 가르침을 전수받고, 인도 지공화상에게도 가르침을 받았으며 고려 불교문화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기고 1374년(공민왕23년) 입적했습니다.
1351년(충정왕 3)에 원나라에 가서 고승들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귀국 후 1372년(공민왕 21)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지었습니다.
이 책은 경한이 입적한 3년 후인 1377년(우왕 3) 7월에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인쇄됐으며, 1378년(우왕 4)에는 여주 취암사에서 ‘백운화상어록’도 간행되어 후세에 그의 선사상(禪思想)을 알리는데 기여했습니다.
'직지' 이외에 백운에 관한 저술로 '백운화상어록' 상·하권이 전해져 옵니다.
이 책의 서문을 쓴 이구(李玖)의 글에 ‘白雲和尙 海東古阜郡籍 髫齔出家’이라는 대목이 보입니다.
즉, 백운의 고향이 당시 ‘고부군’이고, ‘초츤髫齔’ 즉 젖니를 가는 7-10세의 나이에 출가했음을 알게 합니다. 어린 나이에 출가한 것으로 보면 아마도 정읍의 어느 사찰이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내용에 근거하여 근래 정읍시는 백운의 고향을 ‘정읍시 고부면 백운마을’로 비정했고, 이곳에 ‘백운화상 탄생지 기념비’를 세웠습니다.
백운 화상은 일생을 '무심'의 진리에 몰입,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으며, 무심무념(無心無念)의 선(禪)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무심선(無心禪)은 다분히 그의 시문학에도 담겨 있습니다.
"고요한 흰 구름은 허공에 일어났다가 사라지고, 잔잔히 흐르는 물은 큰 바다 복판으로 흘러간다. 물은 굽거나 곧은 곳을 만나도 언짢다고 불평하거나 좋아하지 아니하고, 구름은 스스로 뭉쳤다가 스스로 풀어져 친하다거나 서먹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본래 고요해 '나는 푸르다 누루다'고 말하지 않는데, 사람들이 제각기 분주하게 '이것이 좋고 저것은 나쁘다'는 마음을 낸다. 경계에 부딪혀도 구름이나 물처럼 무심하듯 이 세상에 살면서 마음이 자유로이 무심하면 서로 서로 불편하지 않으리..."
무심선(無心禪)을 기반 한 그의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을 노래한 시는 곧 집착과 채움의 사유로 불안하고 번다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비우고 내려놓는 삶의 지혜를 일깨워 줌으로써 '텅빈 충만'의 세계를 보듬게 하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계 송희규 전북 고산에 귀향와'양정(養正)'을 짓다 (0) | 2022.06.29 |
---|---|
전주부에 52개, 남원도호부에 48개 요지 및 유물 산포지 있다 (0) | 2022.06.27 |
새만금 신공항 예정 부지서 ‘녹청자 유물’ 다수 발견 (0) | 2022.06.27 |
정읍 고부출신 '백운(白雲) 경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의 발원문 작자로 확인돼 (0) | 2022.06.27 |
전주부에 52개, 남원도호부에 48개 요지 및 유물 산포지 있다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