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스토리

[인문학 스토리] 전주와 완주의 32가지 ‘완산승경(完山勝景)'

 

 

 

 

 

 

 

 

 

 

 

 

 

 

 

 

 

 

 

 

 

 

 

 

 

 

 

 

 

 

 

 

[인문학 스토리] 전주와 완주의 32가지 ‘완산승경(完山勝景)'

향토학자 고 이철수선생이 지난 1971년 10월 펴낸 ‘완산승경(전주청년회의소 발간)’이란 책자를 보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전주와 완주 일대에는 ‘완산승경(完山勝景)’, ‘전주팔경(全州八景)’, ‘전주십경(全州十景)’ 등이 전해 내려왔습니다.

‘전주팔경’은 ‘완산팔경(完山八景)’, ‘전주십경(全州十景)’은 ‘완산십경(完山十景)’이라고도 합니다. 전주의 옛 이름이 완산이기 때문입니다.

‘승경(勝景)’은 ‘뛰어나게 좋은 경치’를 말합니다. ‘완산승경’ 가운데는 좋은 경치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유명한 지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주팔경(全州八景)’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완산승경’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낯설기만 합니다.


‘완산승경’은 △기린토월(麒麟吐月, 전주시 기린봉), △유연낙조(油然落照, 전주시 중화산동 유연대), △완산칠봉(完山七峰, 전주시 완산칠봉), △한벽사경(寒碧四景, 전주시 교동 한벽당), △동성수납(東城睡衲, 전주시 교동 승암산 동고사), △남고모종(南固暮鐘, 전주시 동서학동 남고사), △사대병암(四大屛岩,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 사대원), △은석동학(隱石洞壑, 전주시 색장동 은석골), △다가비설(多佳飛雪, 전주시 다가공원), △오목요대(梧木瑤臺, 전주시 교동 오목대), △간납자규(諫納子規, 전주시 남노송동 간납대), △진북쇄월(鎭北灑月, 전주시 진북동 진북사), △가련청람(可連晴嵐, 전주시 덕진동 가련산), △덕진채련(德津採蓮, 전주시 덕진공원 연꽃), △건지송뢰(乾止松籟, 전주시 덕진동과 송천동 건지산), △삼천세우(三川細雨, 전주시 삼천동 가랑비), △단암공영(丹岩空影, 완주군 소양면 죽절리 단암사), △모악요하(母岳繞霞, 완주군 구이면 모악산), △죽림천엽(竹林千葉,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마을) , △만마도관(萬馬道關, 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만마관), △법사장한(法史長恨, 전주시 금상동 회안대군 묘소), △구진융마(九進戎馬, 완주군 소양면 화심리 구진벌 전쟁터), △동포귀범(東浦歸帆, 완주군 봉동읍 장기리 동포), △대아수간(大雅垂竿, 완주군 동상면 대아저수지), △고달귀운(高達歸雲, 완주군 구이면과 상관면 고달산), △보광유경(普光幽徑, 전주시 동서학동 보광사), △경각심홍(鯨角深紅, 완주군 구이면 덕천리 경각산), △대천파설(大川波雪, 완주군 삼례읍 한내천), △황방폐월(黃尨吠月, 전주시 황방산), △위봉폭포(威鳳瀑布,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폭포), △운제백련(雲梯白蓮, 완주군 화산면 운제골 백련), △대둔천잠(大屯千岑,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입니다.


이 책자를 보면 ‘완산승경’은 모두 32곳에 이릅니다. ‘완산승경’ 가운데는 ‘전주팔경’ 5곳이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완산승경’은 옛 모습 그대로를 볼 수 없는 곳이 여러 곳입니다.
구진융마, 만마도관, 사대병암, 운제백련, 은석동학, 죽림천엽 등은 자료를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종근과 백담 백종희선생이 같이 단행본으로 펴낼 '완산승경'의 휘호를 공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