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판소리박물관이 18일 첫번째 동리 신재효 자료총서를 발간했다. 신재효 선생의 판소리 사설 10여종이 총정리 되면서 고창 판소리와 동리 신재효 연구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리 신재효 자료총서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차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동리 신재효 선생(1812~1884)의 판소리 사설, 가사, 고문서, 유적·유물, 전기역사자료 등을 집대성해 책으로 엮는 작업으로 영인본(원본을 사진으로 찍어서 복제한 책) 등 총 18권으로 계획돼 있다.
이번 발간 자료는 고창군과 (재)한국학호남진흥원이 함께 작업했다. 동리 신재효 자료총서 중 ‘춘향가’, ‘심청가’, ‘토별가’ 사설 영인본 3권을 발간했다.
첫번째 자료총서인 영인본에는 동리 신재효 사설인 가람본, 신씨가장본, 성두본, 새터본, 고수본 등 10여종을 총망라해 원본을 영인하고 해제(현대어로 해설)해 출간했다.
특히 판소리 사설 이본(異本)에 대한 해제를 수록해 판소리 사설 이본간의 차이와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동리 신재효 자료총서 사업은 고창 판소리 연구 활성화와 동리 신재효 연구의 새장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남원, 보성 등 타 지역과의 전승의 차별성과 고창의 역사적 특징을 결정화하는 사업이다.
또 전북 고창이 판소리 전승과 재창조의 수도임을 밝히는 문화적 기반을 조성해 역사적인 판소리의 발전과정을 생생히 기록하는 의미도 있다. 차후 수많은 판소리 연구의 자원이 되어 관련 연구를 보다 활성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
고창군 판소리박물관은 후속 발간작업인 ‘박타령’, ‘적벽가’, ‘변강쇠가’ 사설 영인본 완료 후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관련 연구자와 국민들이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서비스할 예정이다.
고창군청 문화예술과 백재욱 과장은 “앞으로도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자료들을 포함해 조선후기 판소리 문화를 재가공하고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자료를 꾸준히 소개하겠다”며 “동리 신재효 자료총서가 조선후기 판소리 문화를 이해하고 탐색하는 통로가 되고, 새로운 해석이 가능한 판소리 재창조의 시금석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공동체 지지배배’, '공감을 넘어 통감으로, 문학으로 잇다' 발간 (0) | 2021.01.07 |
---|---|
전북 위도가 고대 항로의 중심지임이 밝혀지다 (0) | 2020.12.11 |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 담았어요” 한반도 첫수도 고창기네스 책 나와 (0) | 2020.09.25 |
전북노인복지효문화연구원,‘전북효문화보감’ 발간 (0) | 2020.09.22 |
이종근 전주인문기행1~2권 (보도자료)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