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금산사 미륵전 유래

사찰마다 특징이 있다. 나주 다보사는 다보보살, 고창 문수산는 문수보살, 금산사는 미륵보살을 모시고 있다.

금산사 미륵전 각층마다 편액이 하나씩 걸려있는데, 3층에 [미륵전(彌勒殿)], 2층에는 [용화지회(龍華之會)] 1층에는 [대자보전(大慈寶殿)]이다.

이름은 다르지만 모두가 미륵의 세계를 나타낸다.

대자보전이란 미륵이 뜻하는 법어[마이트레이야]를 한자로 번역하여 자씨(慈氏)라고 부르는데서 유래했다.

용화지회는 미륵부처님이 서가세존 입멸후 56억 7천만년이 지나 사바세계에 도래해 용화수 아래에서 성불한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용화지회는 미륵의 하생을 뜻한다.

그리고 3층의 미륵은 말 그대로 건물 안에 미륵불을 봉안하였다는 뜻이다.
이처럼 하나의 건물에 3개의 편액이 걸렸지만 결국 미륵을 모셨다는

미륵전이라는 이름 하나로 모아진다.

미륵전은 이러한 다층의 사찰 건축으로 충북 보은 법주사의 팔상전과 함께 한국 건축사의 독특한 장엄을 의미한다.

금산사 미륵전(국보 제62호)의 1층엔 ‘대자보전(大慈寶殿)’, 2층엔 ‘용화지회(龍華之會)’, 3층엔 ‘미륵전(彌勒殿)’ 등 각각 다른 명칭의 현판이 걸려 있는 것처럼 쓴 사람도 모두 제각각이다.

'대자보전'은 몽연 김진민선생, '용화지회'는 성당 김돈희선생이 각각 썼다. 상하의 위치는 사제간이기 때문이다. 편액을 써서 매단 연도는 정확치 않다. 한편 미륵전은 작자 미상으로 알려져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참고자료>
부처님은 “미륵이 도솔천에 태어나 일생보처보살로 머무를 것이고, 5백만억의 천자들이 공양할 것이며 그들이 서원을 일으켜 궁전을 만들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며 도솔천궁의 장엄에 대해 설한다. 이어 “미륵은 이곳에서 여러 천상의 사람들을 교화하다가 마침내는 하생하여 부처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미륵상생경>에 나오는 이야기다. 미륵은 석가모니의 교화인연이 다한 다음 사바세계에 강림해 중생들을 교화할 미래불이다.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세 번 설함으로써 석가모니 부처님이 이루지 못한 모든 중생을 구원하기로 되어 있다.
원래 범부였던 미륵의 성(?)은 자씨(慈氏)다. 마이트레야(Maitreya)라는 범어를 한자의 자(慈)로 번역해 이를 김씨, 박씨 하듯이 자씨라 한 것이다.
금산사 미륵전의 현판은 이와같은 미륵경의 스토리를 상징하고 있다.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성산  (0) 2020.05.21
고창고등학교와 성산  (0) 2020.05.21
채용신 ‘금마산방’ 찾았다  (0) 2020.05.21
거시기(송세림)  (0) 2020.05.20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 판결기록 복원  (0) 202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