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은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원신암마을 위쪽에 있는 ‘데미샘(八公山)’에서 시작한다. 데미는 봉우리의 사투리다. 데미샘에는 섬진강 발원지라고 쓰인 돌비석이 서있다. 사람의 발길이 잘 닿지 않은 마을 그보다는 찾는 사람이 거의 없는 산중에서 조용히 섬진강은 시작된다. 고려 말엽인 우왕 11년(1385년)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였다. 광양만과 섬진강에도 왜구들이 자주 출몰하였다. 한번은 왜구들이 하동 쪽에서 강을 건너려 했다. 그 때 진상면 섬거(蟾居)에 살던 수만 마리의 두꺼비들이 지금의 다압면 섬진마을 나루터로 몰려들어 진을 치고 울부짖어 왜구들이 놀라 도망치는 바람에 주민들이 무사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섬진강이라 부르고 있다.
섬진강(蟾津江)의 섬은 두꺼비 섬(蟾)자이고, 진은 나루 진(津)이다. 또한 섬진강은 모래가 곱다고 하여 두치강(豆恥江 또는 豆置江), 모래가람, 모래내, 다사강(多沙江), 대사강(帶沙江), 사천(沙川) 그리고 기문하(基汶河) 등으로도 불렀다. 하지만 강 상류에 1965년 한국 최초의 다목적 댐인 섬진강 댐 건설로 정읍시. 임실군 5개면 28개리가 수몰됐다. 섬진강의 명산물로는 재첩, 참게, 은어 그리고 다슬기가 있다.
임실문화원(원장 최성미)이 '임실의 산과 강'을 펴냈다. 하천과 강은 섬진강, 오원천 등 45개소를, 산은 임실읍 13개, 청웅면 5개, 운암면 12개, 신평면 9개, 성수면 9개, 오수면 8개, 신덕면 14개, 삼계면 8개, 관촌면 1개, 강진면 6개, 덕치면 10개, 지사면 6개소를 소개했다.
상이암은 임실 성수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 제24교구 본사 선운사의 말사이다. 백일기도를 끝내고 못에서 목욕을 하던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하늘로부터 용이 내려와 몸을 씻어주고 승천하면서 성수만세(聖壽萬歲)’라 했다고 한다. 이곳의 산이름이 성수산인 것에 거기에서 유래됐다. 절 입구에 태조 이성계가 쓴 '삼청동(三淸洞)'이라 새긴 비석이 있다.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기 위해 백일 기도를 드렸으나 별다른 감응이 없자 이곳에서 3일을 더 맑은 계곡물에 목욕재계를 하고 기도를 드려 비로소 관음보살의 계시를 얻게 됐다. 이 비석은 그것을 기념하여 자연석에 새긴 것.
이 책자는 산경표 이야기가 소개됐으며, 대동여지도 이야기, 한국 전통 지리 부활운동 현황 등은 부록에 실렸다.
최성미 임실문화원장, 김정길 전북산악연명 상근 부회장, 이영열 전북산악연맹 운영이사, 이운희 산악인, 천정영 임실문화원 사무국장이 조사위원 및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이종근기자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산승경을 아세요? (0) | 2018.06.18 |
---|---|
전북의 구비설화,전북문화원연합회 발간 (0) | 2018.05.07 |
전주의 편액과주련,전주문화원 발간 (0) | 2018.04.29 |
이윤형의 혁명 (0) | 2018.04.09 |
심관 이형수의 수묵편지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