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대비 전북자원봉사센터의 인력이 두배 이상 늘었다. 체계적인 자원봉사업무 보다 선거과정에서 공신이나 측근들을 챙기기 위한 수단이 아닌지 의심이 가는 대목이다. 따라서 자원봉사센터를 민간위탁하여 센터의 자율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전북도의회 이도영 의원(국민의당, 전주2)은 제337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도자원봉센터가 선거조직으로 전락되지는 않았는지 문제를 제기하고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의원은 “민선5기 전라북도 자원봉사센터의 직원은 총 6명이었으나 민선6기 이후 두배가 넘는 13명이 되었다”며, “조직의 인원이 대규모로 늘어난 이유가, 신규사업증가나 업무과다 보다는 선거과정에서 공신이나 측근들을 챙기기 위해 인위적으로 도자원봉사센터의 정원을 늘린 것이 아닌지”질의했다.
자원봉사센터가 본연의 업무인 자원봉사업무에 충실하고 정치적으로 중립할 수 있도록 운영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대책을 촉구했다. 이에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전문성을 둔 사람들로 채워져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전주 등 전국 각 지자체별로 '자원봉사센터'란 곳이 245군데에 있다. 전주의 경우 전국 최초이자, 최고의 자원봉사 도시로 자리매김한 전주시가 자원봉사 마일리지 적립 및 차감제를 전국 247개 자원봉사센터 중 최초로 운영하는 한편 전국적인 모범 사례를 보이고 있다. 자원봉사자가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현재 11만 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봉사활성화를 위해 곳곳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다.
자원봉사 마일리지 적립 및 차감제는 평상시 자원봉사 활동실적을 마일리지로 적립해 각종 시설 입장료와 관람료, 주차요금, 제증명발급 수수료를 현금대신 마일리지로 사용할 수 있는 제도다. 현재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제증명 민원서류가 발급되는 전주시청, 완산구청, 덕진구청 민원실, 33개 주민센터로 조례에 명시된 150여종의 민원서류(등초본, 인감증명서, 토지대장 등) 발급 수수료를 마일리지로 사용(차감) 할 수 있다.자원봉사라면 보통 민간 봉사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하지만 더러는 전국 자원봉사센터 가운데 절반을 전·현직 공무원들이 운영하고 있어, 선거 운동에 악용되기도 한다.
어느 자원봉사센터는 독립된 사무실을 갖추고 있지만, 전직 공무원이 운영하고 있다 현행법상 민간 운영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예외적으로 국가 기관 운영을 허용한 탓이다.
문제는 이처럼 자원봉사센터에 지자체의 입김이 미칠수밖에 없는 구조 때문에 봉사활동의 자율성이 침해받는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센터 근무 경험이 있는 김모 씨는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공공연하게 인사 개입이 있었다고 털어놓는다. 새로운 시장님은 '너네들은 과거 시장 시절에 들어온 사람들 아니냐' '전 시장을 돕기 위해서 존재하는 사람들이다' 이렇게 낙인 찍어버려 그만두게 됐단다. 센터에 자기 사람을 심은 뒤, 봉사활동을 선거운동에 동원한다는 증언도 이어진다.
전·현직 공무원이 센터장을 차지한 곳은 전국 245개 센터 가운데 절반 가량이다. 특히 현직 공무원들이 장을 하든지 직원으로 채용돼있다. 이는 예외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바꿔야 된다.국가 기관의 센터 운영을 금지하고 민간의 자발성을 키워야 한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는 까닭이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속의 신명난 제5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0) | 2016.10.19 |
---|---|
마실길을 떠나요 (0) | 2016.10.17 |
이종근의 프로필 사진 (0) | 2016.10.12 |
정읍 산내 꽃밭에서 노닐다 (0) | 2016.10.06 |
전북서 한국민속예술축제 개최 (0) | 2016.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