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권3 낙산2대성관음정취조신조에 실려 있다. 신라 때 세규사(世逵寺 : 逵는 達이 옳다는 설이 있음)의 농장이 명주에 있어서 본사에서 조신이라는 중을 농장 감독으로 보냈다. 조신은 태수 김흔공(金昕公)의 딸을 깊이 사모하여 낙산사 대비관음 앞에 나아가서 그 여자와 인연을 맺게 해달라고 빌었다.
그러나 그 여자는 벌써 배필이 정해져 다른 곳으로 시집을 갔다. 조신은 법당에 가서 대비보살이 자기의 소원을 성취시켜주지 않음을 원망하여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다가 노곤하여 잠깐 졸았다. 꿈에 갑자기 김씨낭자가 조용히 문으로 들어와 "내가 일찍이 당신의 낯을 보고 사랑하여 잊지 못했지만 부모의 명을 어기지 못해 딴 곳으로 출가했습니다. 이제 죽어서 한데 묻힐 친구가 되고자 왔습니다"라고 말했다. 조신이 미칠 듯이 기뻐서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 40여 년을 재미있게 살면서 아이를 5명이나 두었다. 그러나 점점 가난해져서 식구들을 이끌고 빌어먹으며 돌아다니다가 명주 해현령(蟹縣嶺)에 이르렀을 때 15세 된 큰 아이가 굶어죽게 되어 길가에 묻었다. 남은 식구들이 우곡현(羽曲縣)으로 가서 길가에 볏짚을 짓고 살았는데 부부가 늙고 병들어 일어나지 못하여 10세 된 계집애가 밥을 빌러 돌아다니다가 동네 개에게 물려 아파 울부짖으니 부모로서 탄식하며 눈물을 흘렸다. 너무나 비참해지자 부인은 서로가 서로에게 짐이 되니 헤어지자고 제안하고 조신도 이에 동의했다. 남녀가 각각 아이들을 2명씩 나누어 맡고 막 떠나려 할 때 홀연히 꿈을 깨니 조그마한 등불만이 어스름하게 비치고 밤은 벌써 깊었는데 수염과 머리가 하얗게 세 있었다. 이에 마치 100년의 괴로움을 겪은 듯하며 세상사에 집착하는 마음이 눈녹듯이 사라졌다. 부끄러운 마음으로 성상 앞에서 한없이 참회하고 해현령에 가서 아이를 묻은 곳을 파보니 돌미륵이 있었다. 조신은 돌미륵을 깨끗이 씻어서 가까운 절에 봉안하고 그뒤 서울로 가서 농장의 책임을 사임하고 사재를 털어 정토사(淨土寺)를 짓고 백업(白業)을 부지런히 닦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현실-꿈-현실'이라는 몽유양식(夢遊樣式)을 통해 인생무상이라는 주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환몽설화로 후대의 많은 몽유록(夢遊錄)과 몽자류소설(夢字類小說)에 서사구조를 제공한 것으로 지적되어왔다. 한편 몽중 체험이 고난의 연속이었다는 특징 때문에 이 이야기는 불교적인 인생무상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 없는 길, 길을 열라 (0) | 2016.07.14 |
---|---|
덕진연못의 연꽃 (0) | 2016.07.07 |
땀과 열정뿐 기술 앞에 장애는 없다 (0) | 2016.07.01 |
심관 이형수 (0) | 2016.06.28 |
전주중앙시장 떡골목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