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규창문학비

전주의 시비

전주의 시비

 

 

 

 

 

 

 전북출신 원로 고은 시인(82)이 또 한 번 노벨문학상에서 고배를 마셨다. 올해 역시 고은 시인이 후보로 거론됐으나 노벨문학상은 그를 빗겨갔다. 주말에 비가내리더니 바람기운이 차다. 단풍이 붉어지고  곤두서는 마음이 아파오는 계절이다. 완주군 구이방면 모악산 자락 등산로 입구에 고은 시인의 <모악산>시비가 잔뜩 찌푸린 하늘아래 쓸쓸함이 감돈다.


‘내 고장 모악산은 산이 아니외다 어머니 외다/저 혼자 떨쳐 높지 않고 험하지 않고 먼데 사람들마저 어서 오라 어서 오라 내 자식으로 품에 안은 어머니 외다/여기 고스락 정상에 올라 거룩한 숨 내쉬며 저 아래 바람진 골마다 온갖 풀과 나무 어린 짐승들 한 핏줄이 외다 세세생생 함께 살아가는 사람과도 한 핏줄이 외다/이다지도 이다지도 내 고장 모악산은 천년의 사랑이 외다 오 내 마음 여기 두어’(모악산 전문)


 노벨문학상후보의 고향인 전북은 한국문학의 거목들을 배출해내는 수준 높은 문학의 고장이다. 전주덕진공원에 가면 현대문학의 개척자이자 전북문학사를 빛냈던 김해강, 신석정, 이철균, 백양촌의 시비가 둘러 서있어 문학의 성지로 통한다. 덕진공원 부근 전주체련공원으로 향하면  1999년에 건립한 전북 연극계의 대부, 극작가 박동화(1911-1978)의 동상이 금방이라도 움직일 듯 반긴다. 2미터 높이의 좌대 위에 박동화 선생의 흉상과 좌대에는 고인의 작품인의 ‘나의 독백은 끝나지 않았다’  주요 대사가 새겨져 있다.  그는 해방 이후 전북의 현대연극사에서 그는 가장 크고 명확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70년대 말까지 20여 년 넘게 오직 연극만을 위해 삶을 살았다. 한국연극협회 전북지부장과 전북예총의 회장을 지냈다. 다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쪽으로 가다 왼편에 1999년에 건립된 ‘양곡소세양선생문학비’가 가을분위에 묵직하다.깊어가는 가을밤을 노래한 절창이다.

 

夜吟炭谷草舍( 밤에 탄곡초사에서 읊음)
山家秋興十分濃(산가의 가을 흥취마냥 깊은데)
野菊欲花楓始紅(들국화 꽃 피우려 단풍이 먼저 붉네)
半夜夢回風雨亂( 한밤중 비바람소리 꿈을 깨우니)
不知身臥水聲中(아. 이몸이 물소리속에 잠겨있구나)

 

 양곡은 중종 4년 식년문과에 급제후 여러 벼슬을 거쳐 수찬으로 재직 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복위를 건의하여 현릉에 이장하고, 대묘에 위패를 두도록 했다. 왕자의 사부와 승지 등 고위직을 지내고 전라도관찰사로 나갔으나 왜구에 대한 방비를 소홀로 파직했으나 다시 기용, 형조판서에 올랐다. 진하사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호조판서, 병조판서·이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이 된다. 대윤 일파의 탄핵을 받았으나, 명종이 즉위하여 좌찬성을 지냈다. 사직한 뒤에는 익산에 머물면서 여생을 마쳤다. 율시에 뛰어났고 송설체의 글씨를 잘 써서 필명이 높았다. 천수를 다하고 부귀를 누린 사람으로 손꼽힌다. 황진이와 양곡과의 30일간의 로맨스가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저서로는 〈양곡집〉이 있다.
전주교육대학교 교정에 가면 공원 한편에 자리한 충남 부여 출신, 민족시인 신동엽(1930~1969)의 시비가 있다. 억압과 현실의 모순을 예리하게 들추어내다 서른아홉의 나이로 작고한 시인을 기리기 위해 2001년 전주사범 제3회 동문들이 졸업 50주년을 맞아 제막했으며, 시비에는 <껍데기는 가라> 일부가 새겨져 있다. 신동엽은 키가 작아 교실 앞자리에 앉았고 내향적인 성격으로 기숙사와 교실을 오갈 때 옆구리에 세계문학전집 같은 문학 서적을 끼고 다녔다고 한다. 그는 맑은 감성과 고운 언어로 노래하였고, 불의에 대해 도전하는 예리함을 보여주었다는 평이다.

 

 '껍데기는 가라. / 四月도 알맹이만 남고 / 껍데기는 가라. // 껍데기는 가라. / 東學年(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 껍데기는 가라. // 그리하여, 다시 / 껍데기는 가라. / 이곳에선, 다시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 아사달 아사녀가 / 中立(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 부끄럼 빛내며 / 맞절할지니 // 껍데기는 가라. / 漢拏(한라)에서 白頭(백두)까지 /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껍데기는 가라, 전문)

 전주교육대학교에서 전주천을 따라 내려오다 다가교를 건너면, 시조 문학과 국문학의 거목인 가람 이병기시비와 호국 영령탑을 마주 보고 서 있는 다가공원이다.쌀쌀한 바람이 시비 가까이로 낙엽을 수북이 모은다.  가람 시비에는 그의 대표작 <시름>이 새겨져 있다. 가람 시비는 그의 1주기인 1969년 건립하였고 두 폭의 병풍으로 된 시비는 높이 67센티미터, 너비 100센티미터의 오석을 오른쪽과 왼쪽 화강석에 끼웠다. 가람의 흔적은 그가 재직했던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앞 숲에 있다. 가람의 <난초>시비 맞은편에 신석정 시인의 시 <山山山(산산산)>이 새겨진 시비가 있다. 이외에 전주에 산재해있는 문학비는 혼불문학공원, 남고산성 정몽주 우국시비, 휴비스 전주공장 서정주시비 등이 있다. /양규창(시인. 전라북도문학관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