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채용제도가 결국 원점으로 회귀했다. 따라서 당장 올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은 지난해 방식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삼성측은 대학과 “취업 준비생에게 혼선을 드려 대단히 죄송하다. 지난해까지 시행했던 제도로 돌아간다”는 입장을 표명, 전국 200개 대학 총장으로부터 인재를 추천받아 ‘준비된 인재’를 뽑으려던 계획은 일단 물거품이 됐다.
매년 20만명씩 몰리는 삼성직무적성검사(SSAT)가 ‘삼성 고시’로 불리는 현상을 우려하면서 채용제 개편을 시도했지만 삼성이 대학별로 통보한 추천 인원이 외부로 알려진 뒤, 대학가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총장 추천은 삼성의 ‘대학 줄세우기’라는 거센 비판과 함께 지역차별, 성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논란의 핵심은 대학별 추천 인원 배정에서 영남 지역 대학 할당 인원이 다른 지역 할당 인원에 비해 훨씬 많다는 점이었다. 저마다 지역 균형발전에 앞장서야 할 대기업이 지역 편중을 심화시킨다면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소홀히 하고 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삼성은 그동안의 합격률과 대학별 학과 특성을 고려해 배정했다고 말했지만, 재단이 삼성과 연관된 학교가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받았고 지역별, 학교별 추천 인원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는 시각이 많았다. 특히 상대적으로 추천 인원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호남지역에서는 지역사회와 정치권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총장 추천제에 대한 삼성의 미숙한 대응이 화를 키웠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일단 대학들이 인원에 상관 없이 자유롭게 학생을 추천토록 한 뒤 추후 대학별 입사자들의 근무태도 등을 감안. 대학별 추천 인원을 내부적으로 정했다면 이 같은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삼성이 사회 공헌에 누구보다 앞장서고 있는 기업인데, 왜 인재 추천제를 이렇게 불균형하게 했을까 걱정이 많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채용시험에까지 차별론이 등장하는 건 젊은이들에게 너무 가혹하단 생각이 듦은 왜 일까? 삼성이 새로운 채용제도를 발표했지만 대학서열화, 지역 차별 등 뜻하지 않은 논란이 확산되면서 사회적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면서 사회의 민낯이 드러나는 계기가 됐다. 이번 사태와 관련 삼성은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드높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도시 진안 (0) | 2014.02.03 |
---|---|
전북 연간 독서율, 전국 최고 (0) | 2014.02.02 |
아너 소아이어티(Honor Society) (0) | 2014.01.27 |
추억과 기억 (0) | 2014.01.24 |
동림저수지 (0) | 201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