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한국 석탑의 명칭

 

 

 


  옛날 인도 코살라 왕국 샤키아공화국 카필라바스투에 고타마 싯달타)가 태어났다. 그는 어느 날 궁궐 밖의 모습을 보게 되었다. 사람들이 고통가운데 있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병들어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았다. 샤키아국의 왕자인 싯달타는 궁궐 밖의 사람들에게 왜 고통과 아픔이 일어나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궁궐 내에서는 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는 궁궐 밖의 사람들을 만나서 이야기도 듣고 싶고, 그런 일들이 왜 일어나게 되었는지 등등 알고 싶었다. 그래서 그는 출가를 결심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인 정반왕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아버지 왕은 싯달타가 가정을 이루면 그런 생각들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싯달타는 결혼하게 되고, 아이를 얻었지만 그 아이가 자기의 번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장해가 된다고 ‘라훌라’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가 끝내 모든 번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가하여 고행을 통한 해탈을 얻어 보려고 했으나 몸만 극도로 쇠약해지게 된다. 그래서 홀로 보리수 밑에서 깊은 선정에 드는 동안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깨달은 진리가 너무나 심오하여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설법을 주저했지만 마음을 돌이켜 교화활동을 바라나시 녹야원에서부터 시작하여 많은 제자들이 따르게 되었다. 또한 입적하기까지 45년 동안 주로 마가다 국과 코살라 국을 중심으로 중인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포교활동을 했다. 80세에 쿠시나가라로 가는 길에 병을 얻어 열반에 들었다.
  우리가 석가모니라고 칭할 때 ‘석가’는 북인도에 살고 있던 샤키아라 불리는 한 부족의 대표 성이며, 모니(牟尼)는 성자를 의미하는 무니(muni)의 음사이다. 따라서 석가모니는 '석가족 출신의 성자'라는 의미이다. 석가모니를 말할 때 가장 일반적인 것이 '붓다'이다. 이것은 중국에서 이를 음사하여 '불타'(佛陀)라 하고, 더 약칭하여 '불'(佛)이라고도 부른다. 불교 특유의 용어로서 붓다는 '깨달은 자'를 뜻한다. 인도는 더운 나라이기 때문에 사람이 죽었을 때, 화장(火葬)하여 묘를 만든다. 그런 묘 형식을 우리는 ‘탑’이라고 부른다. 탑은 스투파(stupa)를 음역하여 솔도파, 탑파로 줄이게 되었고 현재 ‘탑’이라고 부른다.

 


  인도의 베트와 강 서쪽 산치에 대형탑(사진 1)이 있다. 이 탑은 말하자면 부처의 묘이다. 그릇을 엎어놓은 듯 하다고 하여 복발형(覆鉢形) 탑이라고 한다. 부처의 묘는 열반 당시, 사리를 8나라에서 가져가 세웠다고 하는 근본 10탑이 있고, 그 후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세 번째 왕인 아쇼카 왕이 분사리(分舍利)하여 인도 전역에 8만4천 탑을 조성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도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은 통도사 금강계단, 정선 수마노탑 등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탑은 인도의 복발형 탑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졌을 것이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현재의 사각형 평면을 가진 탑으로 정형화 되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거의 목조건축물을 지어 본 형식대로 목조로 탑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목탑은 화마로부터 약하기 때문에 돌을 가공하여 목조건축처럼 탑을 만들어 영원히 기념하고자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익산 미륵사지탑이다.

 

(사진 2)이 탑과 비슷한 백제시대의 탑은 정림사지 5층석탑(사진 3)이 있다.

  또한 신라는 초기에 분황사 모전석탑(사진 4)과 같은 탑을 세웠다고 한다.

 

 

이렇게 각 나라의 고유색을 지닌 탑들은 통일신라에 이르면 불국사 석가탑(사진 5)이라는 우리나라 탑의 정형 형식을 만들어내는데 이른다. 가장 안정적이고 가정 균제미 있으며 가장 정돈된 형식의 탑이다. 석가탑과 같이 균제미를 가진 탑으로 우리지역의 대표적인 탑은 실상사 탑이다. 실상사탑은 쌍탑으로 경주 감은사, 장흥 보림사에도 2기의 탑이 불전 앞에 나란히 세워져 있다. 

 

탑의 명칭은 석가탑의 사진을 보면서 동시에 도면(사진 6)의 명칭을 비교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탑은 기초를 다진 후, ‘지대석’이라는 돌을 가장 먼저 땅에 둔다. 그 위에 ‘기단석’을 두는데 2층으로 구성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이 기단은 높아진다. 그래서 기단석 중에서 아래에 놓인 것은 ‘하대석’, 중간에 놓인 것은 ‘중대석’, 위에 놓인 것은 ‘상대석’이라고 부른다. 상대석은 위에 넓은 돌을 얹어 2단을 갖추었는데 위의 것은 ‘상대갑석’이라고 부르고 아래의 것은 ‘부연’이라고 부른다. 부연은 목조건축에서 서까래 위에 얹는 목부재를 말하는데 석탑에서는 좀 어색하다. 또한 기단부에는 4면의 모서리와 칸을 나누기 위한 곳에 기둥을 세우는데 모서리 기둥을 ‘우주’라고 하고, 면을 나누기 위해 세운 기둥을 ‘탱주(?柱)’라고 한다. 그리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있는 면을 ‘면석(面石)’이라고 한다.
  기단부의 상대갑석 위에는 탑을 받드는 ‘옥신괴임’이라는 부재를 한 단 놓고, 다시 그 위에 탑을 놓는다. 지붕 형태의 ‘옥개석’이라는 돌을 ‘탑신’ 위에 놓는다. 탑신은 옥개석과 상대갑석 위에 놓인 옥신괴임 사이에 놓인 돌이다. 이 지붕 같은 돌인 옥개석이 몇 개 있는가에 따라 탑의 층 수를 정한다. 탑신은 각 모서리에 우주를 세우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면석을 둔다.
  옥개석 위쪽은 상륜부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인도의 복발형 탑의 형식을 축소한 것처럼 여겨진다. 원래 탑은 인도의 산치탑과 같은 복발형 탑이어야 했지만 중국의 전탑(塼塔)을 거쳐 우리나라에서는 목탑(목탑)을 만들다가 화재에 취약한 재료의 사용을 피해 석탑으로 그 영원성을 간직하려 했던 것 같다. 따라서 인도의 복발형 탑을 번안하면서 원탑의 형식을 기억하기 위해 제일 위쪽에 그와 같은 장식을 남긴 것이라고 생각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면 탑의 면석에 불상이나 보살상, 사천왕상, 또는 문비(門扉)와 같은 것들이 조각되고 기단부의 중대석에 동물의 눈을 상징하는 안상(眼象)을 조각하여 화려함을 더한다. 한자(漢字)를 모르는 세대들에게 탱주니 우주니 문비, 안상, 복발형 등은 매우 어려운 표현들이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나 드류베이모어 등의 이름들이 7080세대에게는 어려운 이름들이듯...  <전경미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문화재돌봄사업단장>

 

*탑의 명칭 도면은 문화재청 사이트에서 내려 받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