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상훈마을숲

진안 영모정과 숲이야기

 

 

 

 

 

 

 

지난 2월 마지막 주에는 최원석(경상대 연구교수), 김종혁(고려대 연구교수) 그리고 일본에서 오신 시부야, 우라야마, 야마모토 교수 일행과 우리나라 곳곳의 풍수를 살피고 돌아왔습니다. 필자에게는 이번이 일본인 일행들과 4번째 만남이었고 이번 답사는 작년 10월 오키나와 학술 심포지엄 때 계획했던 답사이기도 합니다. 특히 이번 답사는 한일 풍수를 비교 연구하기 위한 성격이 강합니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답사 후 서로 생각을 나누고 일본 특히 오키나와 풍수와 비교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읍치(邑治)풍수로 수원 화성·하동·구례, 태실(胎室)풍수로 영조 태실(충북 청원군)· 태조 태실(충남 금산군), 촌락(村落)풍수로 주로 하동군과 남원시 마을, 주택(住宅)풍수로 구례 운조루, 왕릉(王陵) 풍수로 융·건릉(경기도 화성시)을 살피고 돌아왔습니다. 풍수 교과서를 살피고 돌아온 듯 한 답사였고, 여러 곳을 답사하면서도 마을숲을 살펴 볼 수 있었고 특히 왕릉 주변의 숲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다음 기회에 왕릉 숲 이야기를 언급하기로 하겠습니다. 봄날 같아 답사하기에 너무 좋았고 봄 내음을 너무 일찍 느끼게 한 답사였습니다.

진안 영모정 숲에 다녀왔습니다. 진안 영모정 숲은 (사) 생명의 숲 주관한 2008년 제 9회 아름다운숲 전국대회에서 온라인 시민선정원단이 선정한 아름다운 누리상을 수상한 곳입니다. 당시 성은숙 박사(전북대 임학과)와 함께 신청서를 낸 마을숲입니다. 성은숙 박사와는 은천마을숲 복원작업, 하초 마을숲 아름다운 숲 공모 작업도 함께 하기도 했습니다.

원노촌 마을에 가면 지금은 작고하셨지만 신택범 할아버지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신택범 할아버지는 한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좋은 글을 여러 사람들에게 전해주는 것에 큰 보람으로 느끼셨습니다. 생전에 가끔씩 찾아가면 편안하게 소주를 권하고 옛 선인들의 마음의 양식을 전해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원노촌(元蘆村)마을은 거창 신씨에 의하여 형성된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마을입니다. 거창 신씨가 대부분인 집성촌인 셈입니다. 마을입구에 1907년에 건립된 미계 신선생 의련 유적비명(美溪 愼先生 義連蹟碑銘), 신의련 효자각 등 거창 신씨와 관련된 유적비 등이 많이 있어 마을에 자부심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마을에는 돌 너와 지붕으로 만든 지방유형문화재 15호인 영모정(永慕亭)이 있습니다. 원노촌 마을 뒤쪽에는 느티나무와 서나무로 형성된 당산이 있어 정원 초하루 새벽에 당산제를 지내며 마을 앞쪽으로는 천변에 2기의 돌탑과 1기의 커다란 선돌이 있어 마을의 화재 막이 역할을 합니다. 원노촌 마을은 기러기가 갈대를 물고 가는 형국인데, 나는 기러기가 갈대를 머금어야 조화를 부린다고 하여 마을이름도 여기에서 기인합니다.

영모정 숲은 마을 어귀에서부터 영모정 주변 천변에 대규모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숲의 길이가 300m에 이릅니다. 거창 신씨 종중 소유로 되어 있습니다. 본래 숲은 영모정을 중심으로 하여 소나무 숲이 조성 되었으나 일제 시대에 베어져 소나무 숲은 볼 수 없습니다. 당시 일제는 배를 만들기 위하여 우리나라 목재를 베어갔는데, 이곳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마을숲을 답사하면서 느끼는 점이지만 마을숲의 변천이 우리나라 역사를 고스란히 닮아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는 혼효림으로 느티나무 112주, 상수리나무 72주, 개서어나무 17주, 벚나무 5주, 갈참나무 2주 등 대부분이 활엽수입니다. 그리고 마을 어귀 쪽에는 300주 가량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조림지가 있습니다.

영모정 숲은 마을이 형성된 이후 거창 신씨를 중심으로 홍수를 방지할 목적으로 조성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영모정 숲은 역사․문화적으로 영모정 등 많은 문화유적이 산재해 있으며 환경․생태적으로도 아주 다양한 식생이 잘 보존되어 있고, 경관적으로는 영모정을 중심으로 한 풍치가 매우 아름다워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3월입니다. 봄을 시샘 하 듯 꽃 샘 추위도 찾아오겠지만 머지않아 곳곳에 노오랑 개나리와 분홍빛 참꽃이 필 것 입니다. 오늘도 필자는 꿈속에서 꽃 범벅이 된 풍수 답사지와 영모정 숲을 거닐고 싶습니다. 전주고등학교 이상훈교사

 

'이상훈마을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주안남마을 마을숲  (0) 2013.07.08
정읍김동수가옥과 마을숲  (0) 2013.05.13
임실 물우리 마을숲  (0) 2013.04.29
장수 원삼장 마을숲  (0) 2013.04.15
금오도 해송 숲과 봉산(封山)  (0) 201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