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장생
십장생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등 장수를 의미하는 열 가지 사물을 말한다. 불로장생의 비술을 터득한 신선에 대한 열망으로 인해 동식물 및 자연에서 장생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열 가지의 사물을 골라 그 표상으로 삼은 것이다.
십장생은 모든 인간의 공통된 염원을 담고 있는 만큼 회화를 포함, 도자기, 자수, 목공예품 등의 장식 문양으로 즐겨 사용되고 있다. 때론 대나무, 복숭아, 국화, 연꽃, 포도 등이 추가되기도 한다. 그림에 나타난 장생물의 수가 유동적 일때는 ‘장생도’로 부른다.
거북, 불로초, 소나무, 학은 장수를 뜻한다. 물은 생명, 사슴은 영생, 구름은 인간의 마음, 산은 의지, 바위는 고집 혹은 변함없음, 해는 순수를 뜻한다. 해와 달은 일월이 영구히 빛나듯이 인간의 생명도 길기를 기원한다는 의미다. ‘오봉산일월도’는 다섯 봉우리의 산 위에 해와 달이 함께 있는 그림으로 창경궁 명정전, 덕수궁 중화전, 창덕궁 인정전 등 왕이 거동하는 장소에 사용됐다.
학은 선계의 동물로 신성하게 여겨진다. 학과 소나무를 함께 그린 ‘학수송령도’는 장수를 상징하고, 문관의 흉배에 사용되는 학은 벼슬·관직과 관련한 입신출세를 상징하기도 한다. 사슴 그림은 한 마리나 두 마리 혹은 여러 마리가 떼지어 노는 장면이 연출된다. 사슴이 두 마리인 경우 쌍록도(雙鹿圖), 여러 마리인 경우 백록도(百鹿圖)로 부른다. 특히 한 마리만 그릴 때도 보통 흰 사슴을 그려 놓고 읽을 때, 독음대로 백록도라고 하여, 백마리의 사슴을 그린 그림처럼 복록의 주술적 의미를 백배 더하고 있다.
문화유산 가운데 십장생을 소재로 한 것이 많다. 보물 제810호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은 네모 형태로, 가운데는 동식물 무늬인 십장생을 새겨 넣었다. 굴뚝이면서도 장식적인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는 등 조선시대 굴뚝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십장생도(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37호), 십장생수 이층농(중요민속자료 제59호), 제주도의 관덕정(보물 제322호), 청화백자매월십장생문팔각접시(보물 제1063호) 등에도 십장생이 등장한다.
장수군이 토종 민물거북 남생이를 비롯한 거북류(자라와 붉은귀거북)의 인공서식지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았다. 뜬봉샘 생태공원 생물서식지 복원 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금강의 발원지인 뜬봉샘 생태공원 내에 거북류 인공서식지 복원사업을 추진한다는 것.
남생이는 십장생 중 하나로 최근 하천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확산으로 생존 경쟁에 밀려 급격히 감소,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2급,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돼 있다. 아울러 사슴(사향노루와 대륙사슴)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등 장수군이 ‘불로장생 건강도시’로 자리매김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둘레길이란 (0) | 2012.05.23 |
---|---|
기후온난화 대책은 있는가 (0) | 2012.05.22 |
전주,음식창의도시됐다 (0) | 2012.05.16 |
흰개미, 미워요 (0) | 2012.05.13 |
곰소젓갈 (0) |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