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의 상징

한국탈의 특징

한국탈의 특징

하회별신굿탈놀이의 탈은 응달에서 잘 말린 오리나무를 칼로 깎아 만든다. 이 하회탈의 특징은 턱부분이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만들 때 얼굴 따로, 턱 따로 깎는 것이 아니라, 턱이 붙은 전체 얼굴을 만든 다음 턱부분을 따로 떼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노끈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림

하회탈은 보는 각도와 움직임에 따라서 수시로 표정이 바뀐다. 양반탈은 눈두덩과 광대뼈부분을 깊이 파내어 아래위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표정이 바뀌고, 초랭이탈은 입모양을 좌우로 상반되게 그려 좌우로 움직이는 데에 따라 성난 표정과 웃는 표정으로 바뀐다.

오광대와 야유의 탈들은 산대놀이나 해서탈춤의 탈 생김새가 사람 모습을 토대로 한 사실적인 탈인데 비하면 어느 정도의 거리가 있다. 선이 전체적으로 굵고 단순하고 투박하며, 풍자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통영오광대의 탈을 예로 들면 상상의 괴물을 비롯 문둥이나 홍백탈, 검정탈, 삐뚜루미탈, 손님탈, 말뚝이탈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상징적이고 풍자적인 모습이 강하다. 양반들은 하나같이 병신 모습을 하고 있으며, 아버지가 홍씨와 백씨 둘이라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진 홍백탈은 얼굴의 반은 빨간색이고 반은 흰색이다. 검정탈은 어머니가 화냥질로 낳았다 하여 새까맣게 표현되었다.

한편 야유·오광대의 말뚝이탈은 얼굴이 유난히 큰데 특히 코가 남성 성기모양으로 강조시킨 것이 특징이다. 양반을 비판하는 역할을 하는 말뚝이탈이 이처럼 크게 만들어진 것만 보아도 양반을 비롯한 기득권 체제에 대한 불만이 얼마나 컸던가를 짐작할 수 있다.

해서탈춤의 탈은 기본재료가 종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색채면에서나 조형미에서 뛰어난 감각을 보이고 있다.

그림

하회탈 : 각시, 양반, 부네, 중 초랭이, 선비, 이매, 백정, 할미 등 9종이다. 원래는 총각과 떡다리, 별채 등 세 개의 탈이 더 있었으나 일제 때 유실되었다. 이 9개의 탈은 2개의 주지탈과 병산탈 2종과 함께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 있다.

통영오광대탈 : 충무(통영)지방 탈놀음의 탈이다.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발달한 탈춤을 오광대탈춤이라고 한다. 통영오광대탈춤놀음은 오락적 성향이 강한데, 문둥탈놀이, 풍자탈놀이, 영노탈놀이, 농창탈놀이, 포수탈놀이 등 전체 5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산탈 : 샌님, 서방님, 종갓집도령 등의 양반탈로 모두 입이 찢어졌거나 비뚤어진 기형을 하고 있다. 대사에도 드러나지만 양반들의 언행이 비정상적임을 탈의 생김새로도 보여주고 있다.

수영야유말뚝이탈 : 대부분의 탈춤에 두루 등장하는 하인이 바로 말뚝이다. 양반의 허울을 신랄하게 풍자한다

처용탈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탈로 본래 역신을 쫓는 성격의 탈이다. 사모에는 모란꽃과 복숭아나무 가지와 열매를 단다. 모란꽃은 부귀영화를 상징하고 복숭아나무는 벽사(僻邪)의 의미를 지닌다.

영천장군탈 : 영천군 신녕면 무당의 집에 안치되어 있던 장군탈이다. 신의 존재를 알리는 성격의 신성가면으로 매달 초하루·보름에 무당은 이 가면에 제를 올렸다.

발탈 : 탈꾼이 장막 뒤에 비스듬히 누워서 자신의 발에 씌운 탈을 움직여 일구어내는 탈놀이이다. 주로 안성 남사당패들이 놀았던 놀이로 전해지고 있다.

지탈 : 열두 띠의 동물형상을 짚으로 엮어 만든 탈이다. 탈꾼은 각기 자기 띠에 해당하는 동물의 탈을 쓰고 춤판을 벌인다.

'대한민국의 상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제례악의 산실,종묘  (0) 2010.05.20
종묘제례악의 유래와 역사   (0) 2010.05.20
탈놀이의 종류와 탈  (0) 2010.05.20
탈춤의 유래와 성격  (0) 2010.05.20
인삼의 종류와 인삼요리  (0) 201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