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종근의 행복산책

지금 전국은 축제 구조 열풍 바람

 

 지금, 전국은 축제 구조 조정 바람이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한때 1천여 개에 달했던 지역축제들도 최근 구조조정에 돌입, 경쟁력을 갖추지 않은 축제들이 퇴출될 전망이다.
 특히 민선 자치시대 이후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들이 축제를 열고 있으나 비슷비슷한 ‘붕어빵’ 축제로 전락하거나 콘텐츠 부족으로 관람객들이 외면하면서 그들만의 잔치가 되고 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들은 무분별하고 유사한 지역 축제를 정리하기 위해 ‘축제 총량제’ 등 묘안을 짜내고 있으며, 관련 조례를 제정해 운영중인 곳은 서울, 광주, 제주 등이며, 충북도가 이에 가세한다.
 전북도는 경쟁력 없는 지역축제를 퇴출시키는 방안을 추진한다. 26일 전북도는 지역축제 난립 방지와 유망 축제 육성 등을 위해 예산 차등 지원을 골자로 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그동안 일률적으로 1000만원씩 지원됐던 도내 시군 대표축제에 대한 평가시스템을 마련해 성과에 따라 예산을 차등지원하며 향후 장기적으로 도내 전 축제를 포함하는 것을 담고 있다.
 문화관광부가 선정한 우수축제에 포함될 경우 5000만원에서 최고 1억5000만원까지 집중 지원할 계획이며 도가 자체 평가한 우수축제에도 3000~5000만원을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도는 대표축제를 대상으로 내년부터 예산 차등지원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 도내 전 축제들을 지역별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전북도와 14개 시.군에서 열리는 축제가 52개나 된다. 이들 축제에 지원되는 예산만 한해 80여 억원에 이르지만 축제가 많이 열리는 10월의 경우 19개의 축제가 몰려 있는 등 적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고창군은 모양성제, 복분자축제, 수박축제, 수산물축제 등 군에서 추진하는 축제만 8개나 된다. 주민들이 개최하는 국화축제까지 합하면 9개의 축제가 열린다.
 반면 순창군은 올해부터 민속예술제와 장류축제, 군민의 날 행사를 하나로 묶었다. 임실군 역시 소충제, 사선제, 군민의날 행사 등을 통합해 10월 소충사선문화제를 열고 있다.
 충북도도 천편일률적인 지역 축제에 대해 구조 조정의 칼을 들이댄다. 충북도는 경쟁력 있는 향토 축제에 선별적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역축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제정,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12개 시.군이 매년 개최하는 축제는 모두 60여 개로 시군별로 평균 5개나 된다. 그러나 대부분이 먹거리를 판매하는 장터 수준이거나 일부 주민들끼리 어울리는 ‘동네잔치’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판단이다.
 충북도는 이 조례가 제정되면 매년 초 각 시.군으로부터 축제 계획서를 받아 평가한 뒤 지원 대상 축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주요 평가 기준은 축제의 주민참여도, 지역경제 기여도,  프로그램의 독창성 및 다양성 등이다. 평가가 좋은 축제에 대해서는 지원을 늘리고, 점수가 낮은 축제는 지원액을 감축하는 등 도비를 차등 지급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전국 최초로 지난해 4월 축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축제위원회를 구성해 각종 축제를 평가하고 있다.
 축제위원회는 전국 최초로 사전 심의제를 도입, 제주에서 개최되는 38개 축제를 대상으로 현장 평가와 모니터링, 설문 조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연말 평가를 거쳐 내년도에는 예산의 차등 지원 등을 통해 축제를 구조 조정한다.
 경북도는 올들어 축제 혁신 방안을 마련, 축제 총량제와 지역별 대표 축제 육성을 하기로 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23개 시군에서 매년 열리는 축제는 모두 115개로 시군별로 평균 5개의 축제가 열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정부가 지원하는 축제는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 영주 풍기인삼축제, 경주 술과 떡 잔치, 문경 찻사발축제, 봉화 춘양목송이축제 등 5개다. 또 경북도가 지원하는 축제는 고령 대가야축제, 영덕 대게축제, 경산 자인단오제, 울릉 오징어축제, 청송 문화사과축제, 영천 보현산별빛축제, 영양 고추문화축제 등 7개이며, 나머지 103개는 각 시군이 자체적으로 여는 축제이며 전체 축제 가운데 70%인 80개는 민선자치제 실시 이후에 생겼다.
 경북도는 시군별로 1개의 ‘대표축제’를 선택해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개최할 수 있는 축제도 최대 2개로 제한하는 ‘축제총량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충남도도 올 초 내용이 비슷한 2, 3개의 축제를 하나로 통폐합했다. 홍성군은 기존 조양문화제와 만해제, 김좌진장군전승기념축제 등을 하나로 묶어 ‘내포큰사랑축제’를 치르고 있다.
 ‘축제의 섬’ 제주도는 최근 축제 평가를 통해 ‘선택과 집중’에 따른 예산 차등 지원 등으로 경쟁력 없는 축제를 퇴출시키기로 했다.
 제주축제육성위원회는 최근 3월부터 9월까지 열린 지역 특성화 축제 6개와 지역특산물축제 2개, 생태자연축제 2개, 전통문화축제 3개, 문화예술축제 4개 등 17개의 축제에 대해 현장모니터링 등 종합 평가를 했다.
 평가를 통해 6개 축제에 대해서는 예산 지원 증액, 또 다른 6개 축제는 현행 수준 유지,2개 축제에 대해서는 예산 삭감 의견이 제시됐다. 축제육성위원회는 10월 이후에 개최되는 축제도 현장 평가를 실시, 연말에는 올 한해 열린 모든 축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최종보고서를 마련할 계획이다.
 축제에 대한 구조조정 여론이 높자 서울시는 2006년 5월 ‘문화예술축제의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축제 지원과 평가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부산시는 2005년 축제 현장 평가제도를 도입했다. 지역축제평가단의 평가를 토대로 축제 지원금을 차등 지원하고 있다. 전남도 역시 지역축제전문평가단을 운영해 우수 축제에는 인센티브를 준다. 충남도는 지역축제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문제점 있는 축제에는 일몰제를 적용한다.
 경기도는 시.군 자체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1백41개의 각종 축제 중 경쟁력 있는 행사를 선정해 집중지원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지역의 우수한 축제를 선정한 뒤 예산지원을 통해 경기도 대표 축제로 육성하기로 하고 축제발전심의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지역의 각종 축제 가운데 관광상품화가 가능하고 축제의 전문성, 부가가치 창출효과 등을 고려, 5∼7개의 대표 축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경북도의 관계자는 “축제 육성과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들고 ‘축제아카데미’를 개설해 축제 평가체제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이들 축제가 구조 조정의 대상이 된 이유는 내용이 비슷비슷해 주민과 관광객들의 호응이 떨어지는 데다 무리한 개최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전민일보 이종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