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252)
경복궁 근정전 행각의 주련 3-j-4 근정전 행각의 주련 위치와 연혁 :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의 동쪽 행각이다. 이 곳의 기둥에 열 세개의 주련이 걸려 있다. 뜻풀이 : (1) 立愛敦親 敎民以睦(입애돈친 교민이목) 사랑을 확립하고 친족끼리 돈독함으로써 백성들을 화목하게 하고, (2) 好學樂善 爲世所宗(호학낙선 위세소종) 배움을 좋..
경복궁 사정전, 사정문, 사현문 4. 사정전 권역 4-h-1 사정전思政殿 위치와 연혁 : 사정전은 왕이 평상시 거처하며 정사(政事)를 보살피던 곳이다. 근정전 뒤 사정문 안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에 만춘전, 서쪽에 천추전이 있다.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태조 4)년에 지었으며,<원전 1> 1553(명종 8)년에 불탄 뒤 재건했다.<원전 2> ..
경복궁 만춘전, 천추전, 용신당,협선당 등 4-h-4 만춘전萬春殿 위치와 연혁 : 사정전 동쪽에 있는 건물이다. 창건한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437(세종 19)년의 실록 기사에 이 건물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이 무렵에는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전 1> 1867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새로 만들었으며, <원전 2>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없..
경복궁, 강녕전, 향오문, 연생전, 경성전 5. 강녕전康寧殿 권역 5-h-1 강녕전康寧殿 위치와 연혁 : 왕의 침전이다. 근정전 북쪽에 있다.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태조 4)년에 처음 지었다. 1433(세종 15) 년에 고쳐 지었고,<원전 1> 1553(명종 8)년에불탄 것을 재건했으나,<원전 2> 1592년 임진왜란 때 전화(戰禍)로 전부 타버렸다. 1867(고종 4)년 경..
경복궁 강녕전 일대 행각 5-h-5 연길당延吉堂 위치와 연혁 : 강녕전 동쪽, 연생전 뒤쪽에 있는 건물이다. 서쪽의 응지당(膺祉堂)과 짝을 이룬다. 1867(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에 만들었다. <원전 1> 뜻풀이 : ‘연길(延吉)’은 ‘복을 맞아 들인다’는 의미이다. ‘연(延)’은 ‘맞아들이다’, ‘길(吉)’은 ‘복’을 뜻한..
경복궁 교태전, 양의문, 원길헌, 함홍각, 승순당 6. 교태전交泰殿 권역 6-h-1 교태전交泰殿 위치와 연혁 : 왕비의 침전(寢殿)이다. 강녕전 북쪽에 있다. 맨 처음 들어선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440(세종 2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원전 1> 1557(명종 12)년에 처마를 수리하는 공사를 벌였으며,<원전 2>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탔..
경복궁 교태전 일대 행각 6-h-6 보의당輔宜堂 위치와 연혁 : 교태전 남쪽 행각의 양의문 서편에 있는 당의 이름이다. 동쪽의 승순당과 짝을 이룬다. 『북궐도형』과 『궁궐지』에 나타난다. 뜻풀이 : ‘보의(輔宜)’는 ‘천지(天地)의 마땅함을 돕는다’는 뜻이다. 『주역』 태괘의 ‘보상천지지의(輔相天地之宜)’에서 왔다. 태..
경복궁 함원전 일대 행각 7. 함원전含元殿 권역 7-h-1 함원전含元殿 위치와 연혁 : 교태전 서쪽에 있는 건물이다. 건축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의 세종 31(1449)년 6월 18일(병인) 기사에 “내가 지은 건물” <원전 1>이라는 기록이 있어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고종 때 경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