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왕(릉) (252)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복궁 함원전 일대 행각 7. 함원전含元殿 권역 7-h-1 함원전含元殿 위치와 연혁 : 교태전 서쪽에 있는 건물이다. 건축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조선왕조실록』의 세종 31(1449)년 6월 18일(병인) 기사에 “내가 지은 건물” <원전 1>이라는 기록이 있어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고종 때 경복.. 경복궁 경회루 권역 8. 경회루慶會樓 권역 8-h-1 경회루慶會樓 위치와 연혁 : 외국 사신을 접대하거나 군신(君臣)이 연회하는 장소이다.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重層) 팔작지붕 건물이며, 국보 제224호이다. 근정전 서북쪽에 있는 방형 연못 안에 세운 이 건물은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1412(태종 12)년.. 경복궁 동궁 일대 행각 9. 동궁 권역 9-h-1 자선당資善堂 위치와 연혁 : 동궁(東宮)의 편당(便堂)이다. 사정전의 동쪽에 있다.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1429(세종 11)년에 이 곳에서 세종이 정사를 보았다는 실록의 기록 <원전 1>으로 보아 이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몇차례 소실과 재건을 거쳤.. 경복궁 광화문, 건춘문 1. 궁문 宮門 1-h-1 광화문 光化門 ※ 각 항목의 번호에서 현판 및 금석문 등 공간의 이름으로 볼 수 있는 사항은 h, 주련 및 시문, 산문 등은 j로 표기합니다 ※ 위치와 연혁 : 광화문은 경복궁의 정문이다. 1395(태조 4)년 경복궁의 중요한 건물들을 세운 뒤 만든 것으로 보인다. 실록의 태조 4년 9월 29일 기.. 경복궁 영추문, 신무문, 계무문, 광무문 1-h-3 영추문 迎秋門 위치와 연혁 : 경복궁의 서쪽 궁문이다. 동쪽의 건춘문과 짝을 이룬다. 오행 상서쪽을 상징하는 계절이 가을이므로 이와 같이 이름지었다. 이 문은 주로 문무백관이 출입하던 곳으로 건춘문과 똑같은 규모였다. 현재의 문은 1975년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한 것이다. 뜻풀이 : .. 경복궁 흥례문, 유화문 2. 흥례문 興禮門 및 궐내각사 권역 2-h-1 흥례문興禮門 위치와 연혁 : 광화문과 근정문 사이에 있는 남쪽 문이다. 본래 홍례문(弘禮門)이었으나, 중건할 때 청나라 건륭제(乾隆帝, 1711~1799년)의 이름인 홍력(弘曆)을 피하고자 흥례문으로 바뀌었다.<원전 1> 흥례문은 1395(태조 4)년에 경복궁창건 당시 .. 경복궁 덕양문, 기별청, 수정전 2-h-3 덕양문 德陽門 위치와 연혁 : 흥례문과 근정문을 잇는 동쪽 행각에 있다. 1867(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에 만들었다.<원전 1> 뜻풀이 : ‘덕양(德陽)’은 ‘덕이 밝다’라는 뜻이다. ‘양(陽)’은 ‘밝다’, ‘선명하다’,‘드러나다’는 뜻을 갖는데, 동쪽의 밝은 기운을 상징하기도 한다. .. 경복궁 근정전, 근정문, 월화문, 일화문 3. 근정전 권역 3-h-1 근정전勤政殿과 근정문勤政門 위치와 연혁 :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正殿)이며 그 남쪽 문이 근정문이다.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 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일이 모두 이 곳에서 거행되었다.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태조 4)년에 처음 지었으며&..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