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왕(릉) (252) 썸네일형 리스트형 홍유릉 사적 제 207 호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41-1 홍유릉 가는길 : 서울시내 -> 내부순화도로 -> 북부간선도로 -> 춘천방향 -> 남양주시청방향 -> 이정표 < 홍릉 | 洪陵 > <홍릉은 1897년 조선의 국호를 버리고 대한제국의 수립을 선포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합장릉이다> 조선 26대 고종황.. 융건릉 사적 제 206호 |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산1-1 융건릉 가는길 : 수원역 -> 오산방향(병점역) -> 안녕동(343번도로) -> 이정표 < 융릉 | 隆陵 > <정조의 친부모인 사도세자(추존 장조)와 혜빈 홍씨(추존 장조왕비 헌경왕후)의 합장릉인데, 혼유석은 하나만 놓았다. 모란과 연꽃 무늬가 화려한 병풍석.. 영녕릉 사적 제 195호 |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황대리 산 83-1 영녕릉 가는 길 : 영동고속도로 여주IC -> 여주읍 방향(37번 도로) -> 왕대리방향(42번 도로에서 365번 도로) -> 이정표 < 영릉 | 英陵 > <눈부신 치적으로 조선 역대 왕 가운데 특별히 ‘대왕’으로 불리는 세종이 소헌왕후와 함께 잠들어 있.. 영월 장릉 사적 제 196호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86 장릉 가는길 : 경부,중부고속국도 -> 신갈,호법분기점(영동고속도로) -> 만종분기점(중앙고속도로) -> 제천IC(38번국도) -> 서영월 나들목 -> 장릉방향 우회전(58번국도) -> 장릉 < 장릉 | 莊陵 > <추봉된 왕릉의 예에 따라 병풍석, 난간석과.. 파주 장릉 사적 제 203 호 (비공개) | 경기도 파주시 갈현리 산 25-1 < 장릉 | 長陵 > <인조와 인렬왕후의 합장릉이다. 영조 때인 1731년 현재의 장릉 자리로 이장하면서 왕과 왕비를 합장하였다> 선조의 손자이며 광해군의 조카인 인조(1595~1649)는 서인 세력을 등에 업고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 온릉 사적 제 210 호 (비공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19 < 장릉 | 長陵 > <중종왕비 단경왕후가 홀로 잠든 온릉. 중종을 왕위에 올려놓은 반정 세력에 의해 친정아버지인 신수근이 죽임을 당하는 바람에 왕비 책봉 7일 만에 사가로 쫓겨났다. 1739년 영조 때 복위되면서 왕비 능으로 추봉되었기.. 연산군묘, 광해군묘 < 연산군묘 | 燕山君墓 > 사적 제 362 호 |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77 조선 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은 1494년 성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연산군은 초기 4년 정도는 성종조의 유풍이 남아 있어 문치(文治)를 비교적 잘 이루었으나 그 뒤로 무오사화, 갑자사화와 같은 큰 옥사를 일으켜 많은 선비.. 순강원, 휘경원, 영빈묘 < 순강원 | 順康園 > 사적 제 356 호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50 조선 14대 선조의 후궁 인빈(仁嬪, 1555∼1613) 김씨의 능이다. 인빈 김씨는 14세에 선조의 후궁이 되어 왕의 총애를 가장 많이 받아 정원군(추존 원종, 인조의 아버지)을 포함해 4남 5녀를 두었다. 무덤 주위에 곡장을 둘렀으며, 묘..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2 다음